9일 용산 대통령실서 국무회의 주재
양대노총 만난 지 5일 만에 노조 직격
"노동자 측 과도한 주장 자제해야"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양대노총 위원장과의 오찬 간담회에 참석해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 양경수 민노총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마친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 이 대통령, 양경수 민노총 위원장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일부 사업장에서 노동조합원 자녀에게 우선채용권을 부여할지를 두고 논란이 불거진 것과 관련해 "불공정의 대명사 아니냐. 이래서는 안 되겠다"고 쐐기를 박았다.
이 대통령은 9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경제 전체 파이를 키우려면 공정한 경쟁이 전제되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공정한 경쟁은 기업 분야 뿐만 아니라 노동 분야도 마찬가지"라면서 "특히 취업 시장은 어느 분야보다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이 필수인데, 극히 일부 사례라고 믿겠지만 최근 노조 자녀에게 우선채용권을 부여하려다가 말았다는 논란을 보도로 봤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장의 어려움은 이해하지만, 힘이 있다고 현직 노조원 자녀를 특채하려고 규정을 만들면 다른 사람이 억울한 일을 당할 수 있지 않겠느냐"라면서 "기업과 노조, 노조와 기업, 양측 모두 국민 경제의 중요한 한 축"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임금 체불과 소홀한 안전 관리를 없애야 하는 것처럼 이런 사회 갈등을 유발하는 노동자 측의 과도한 주장도 자제되어야 한다"며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피차 책임 있는 행동을 취해 줄 것을 다시 한번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4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위원장과 만나 노정 관계를 재설정한 바 있다. 현직 대통령이 양대노총 위원장을 공식적으로 만난 것은 약 5년 6개월 만이다. 이 대통령의 '소통' 의지가 반영된 만남이었다.
그러나 불과 5일 만에 이 대통령은 노조 고용세습 문제를 직접 거론하며 "노동자 측의 과도한 주장은 자제돼야 한다"며 지적한 것이다. 이는 당시 이 대통령이 양대노총 위원장에 밝힌 "노동 존중 사회나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충분히 양립할 수 있다"라는 균형적 시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자신이 '친(親)노동' 기조라는 인식에 대해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누구의 편 애기를 하기 이전에, 기본적인 인권과 상식, 도리에 관한 문제"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