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승 합참의장, 국방부 기자실 첫 방문
"결기·예기 준비돼 있을때 신뢰구축 가능"
남북 접경지훈련 중단, 충분히 고려할수도
'국방부→대통령실' "재이동 계획 갖고 있어"
진영승 합참의장(공군 대장)은 군(軍)이 단단히 준비돼 있어야만 남북 간 긴장 완화 등 신뢰구축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진 의장은 2일 취임 후 첫 국방부 기자실을 방문한 자리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9·19 남북군사합의 복원 전 남북 접경지 훈련 중단' 주장에 대한 입장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그는 "(남북 간) 긴장완화나 우발적 충돌 방지는 필요하다"면서 "신뢰구축도 정책적으로 필요하다면 군이 적극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군이 결기와 예기(銳氣·날카롭고 굳센 기세)로 준비돼 있을 때 포용력 있게 신뢰구축이 가능하다"며 "군은 단단히 준비돼 있어야만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전방에서 훈련하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 의장은 "만일 나중에 그것(9·19 군사합의 복원)이 구체화해서 (남북이) 상호 호혜적으로 한다면 긴장완화를 위해 이 범위 안에서 (남북 접경지 훈련을 중단)하는 것은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안규백 국방부 장관도 지난달 30일 기자간담회에서 '9·19 남북군사합의' 복원의 일환으로 거론되는 남북 접경지 군사훈련 중단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안 장관은 지난달 하순 실시된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병대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에 대해 "내가 승인했다"며 "(군사합의 복원은) 서로 '밀당'하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지 우리가 일방적으로 멈추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진 의장은 "그런데 우리만 선제적으로 우리의 예기를 내려놓는 것은 안 된다"며 "그것은 우려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전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이야기에 대해선 "대통령실이 (청와대로) 이동하면 국방부, 합참도 연쇄적으로, 부족한 공간 안에서 사는데 재이동해서 재편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지난 정부에서 청와대 이전과 국방부 청사 이전 등에 수백억원의 예산이 소요됐던 만큼 전 국방부 청사로 다시 들어가는 것과 관련한 논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