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름 깊어진 철강산업...구조조정·전기료 해법 찾나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입력 2025.10.05 11:00  수정 2025.10.05 12:34

美 관세·中 저가 공세…3년째 실적 감소세

전기요금 인상에 유상할당 확대…비용 부담↑

연간 최소 6천억 추가 비용…“한시 인하 절실”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달 중순쯤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내놓을 계획인 가운데 에너지 요금 완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업계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정부가 이달 중 철강산업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고율 관세와 중국의 저가 공세, 글로벌 수요 둔화 속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전기요금과 배출권 부담까지 겹치며 산업 전반이 압박을 받고 있는 양상이다.


5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구조조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에너지 요금 완화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중순쯤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정부는 철강 제품별 수급 상황을 토대로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의 감산을 유도하고 제품 고도화에 소극적인 기업에는 통폐합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석유화학 산업에서 적용된 구조조정 모델과 유사하다. 다만 정부는 “생산 자체를 줄이는 방식은 아니다”라며 시장 불안을 진화하고 있다.


국내 철강사들의 실적은 3년 연속 감소세다.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 등 주요 14개사의 합산 매출은 2022년 90조원에서 2023년 81조5000억원, 지난해 74조3000억원으로 줄었다. 올해 상반기 매출도 35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했다.


수출도 부진하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8월 대미 철강 수출액은 25억2214만 달러(약 3조5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다. 전체 철강 수출 감소율(6.8%)의 두 배를 넘는 수준이다.


이는 미국의 50% 철강 품목 관세와 중국의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 글로벌 공급 과잉이 동반 작용한 결과다. 최근 유럽연합(EU)도 미국·캐나다처럼 수입 철강 관세를 50%로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현지 보도까지 나오며 우려가 더 커지고 있다.


철강업계의 가장 큰 부담은 에너지 비용이다. 산업용 전기요금은 2022년 1분기 킬로와트시(kWh)당 105.5원에서 지난해 4분기 185.5원으로 80원(75.8%)이 인상됐다. 업계는 “정부가 고로를 전기로로 전환하라고 압박하면서도 전기료는 계속 올려 친환경 전환 유인이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여기에 내년부터 시작될 제4차 배출권거래제(2026~2030년)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의 고심이 더 깊어지고 있다. 정부는 제3차 배출권거래제 총량 대비 1억톤(t) 이상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발전부문 유상할당 비율도 2030년까지 50%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기업들은 부족분을 한국거래소 배출권 시장에서 구매해야 한다. 그간 100% 무상할당을 받아왔던 철강사들은 유상할당 확대에 따라 산업용 전기료 인상 압박도 커지게 된다.


한국경제인협회 분석에 따르면 유상할당 50%, 배출권 가격 3만원 기준으로 전기요금은 kWh당 9.41원 인상될 수 있다. 철강업계의 연간 추가 부담은 3094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지난해 전력 사용량을 적용하면 각각 290억원, 730억원의 전기료가 더 늘어나는 셈이다. 철강업계의 추가 배출권 구매 비용도 연간 최소 6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여야는 철강업 지원을 위한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 입법에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산업용 전기요금 감면책은 빠져 업계 아쉬움이 크다. 철강협회와 지역 경제단체는 “전기료 한시 인하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며 정부에 건의를 이어가고 있다.


정익수 한국신용평가 수석 연구원은 “국내 철강업계는 2022년 이후 거듭된 산업용 전력요금 인상, 규제 강화 등으로 제반 비용 부담이 확대되면서 적정 수익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졌다”며 “전력 의존도가 높은 전기로 제강사를 중심으로 원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