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여간 지방서 화재 발생이 약 2배
질식소화덮개·방사장치는 수도권에 풍부
이성권 "지방에 장비 부족, 빨리 바로잡아야
안전 문제마저 양극화를 만들어서는 안돼"
추석 연휴 전기자동차를 끌고 가족과 함께 귀성길에 오르는 귀성객들은 주의해야할 것 같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에서 전기차 화재가 훨씬 빈발하고 있는데도, 전용 소화 장비 구비 현황은 그에 비례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전마저 수도권과 지방이 양극화돼있는 현실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재선·부산 사하갑)이 3일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래 올해 6월까지 5년여 동안 지방에서 일어난 전기차 화재 건수가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일어난 전기차 화재 건수보다 2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의 경우 수도권에서 29건의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는 동안, 지방에서는 44건이 발생했다. 2023년에는 수도권에서 30건이 발생하는 사이, 지방에서는 42건이 발생했다.
△2022년에는 수도권 14건, 지방 29건 △2021년에는 수도권 6건, 지방 18건 △2020년에는 수도권 4건, 지방 7건 등이었다. 올해는 6월까지 전국적으로 32건의 전기차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수도권은 11건, 지방은 21건이었다.
이처럼 지방에서 현격하게 많은 횟수의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는 것과는 반대로,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전용 장비 보유는 수도권과 지방이 대동소이하거나, 오히려 수도권이 더 잘 갖춰져 있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에서의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적절히 진화되지 못했듯이, 전기 배터리 화재의 경우에는 진화를 위한 전용 장비가 꼭 필요하다. △차량을 완전히 덮어서 산소 공급을 차단하는 '질식소화덮개' △덮개 아래로 물을 분사해 산소 공급을 차단하는 '방사장치' 등이 전용 장비로 꼽힌다.
이 중 '질식소화덮개'는 올해 6월 현재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경기(212개)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경북(187개)·서울(166개)·인천(118개)·경남(104개) 순이었고, 나머지 시·도는 보유 개수가 100개 미만이었다. 특히 광역시인 대전과 광주는 각각 29개와 28개를 확보하고 있는데 그쳤다.
'방사장치'의 경우에도 경기가 343개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서울이 201개로 두 번째였다. 반면 부산(81개)·대구(61개)·대전(42개)·광주(32개) 등 지방 광역시는 이에 크게 못 미쳤다.
전기자동차 화재 건수 자체가 해마다 늘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차 화재에 대비한 대응 장비 보유에도 수도권과 지방 사이에 양극화 현상이 엿보여, 추석 연휴 귀성길 전기차 화재 사고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은 "전기차가 친환경과 유지비 절감이란 장점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화재에 취약한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안전 대비는 미흡한 상황"이라며 "특히 수도권 대비 사고 건수가 많은 지방에 전기차 화재 사고시 화재를 진압할 안전 장비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은 빨리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안전 문제마저 수도권과 지방 간에 양극화를 만들어서는 안된다"며 "정부는 전기차 안전 시설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대한 예산 등 종합 지원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