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4분기도 불확실 터널 여전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입력 2025.10.07 15:46  수정 2025.10.07 15:46

美 노동지표·관세정책…수출 지형 변수

미국발 충격에 세계 무역·환율 시장 출렁

유럽·아시아 동시 긴축…韓, 돌파구 찾기 골몰

4분기에 접어든 글로벌 경제가 여전히 불활실성에 움츠린 모양새다. ⓒ게티이미지뱅크

거시픽은 거시경제(Macro)와 픽(pick, 고른다)의 합성어다. 매주 국내외 경제의 흐름을 한눈에 읽고, 정책·시장·산업에 미치는 영향까지 짚는다. 글로벌 경기 전망, 주요국 정책 변화, 대외 변수와 한국경제의 연결고리, 그리고 수출·환율·금융시장 등 대외경제의 핵심 이슈를 깊이 있게 해설하고자 한다. 앞으로 데일리안 ‘거시픽’은 복잡한 수치와 용어 대신, 독자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경제의 맥을 짚는 해설기사를 제공할 예정이다. <편집자 주>


4분기 시작을 알리는 10월 첫 주, 세계 경제는 미국 노동시장 지표 발표와 유럽 인플레이션 흐름, 미중 무역 긴장 고조라는 세 갈래 변수가 시장 분위기를 요동치게 했다. 주요국 정책 변화에 글로벌 공급망과 한국 경제가 민첩하게 반응한 한 주였다.


주요국 경제지표 발표와 시장 반응


4분기 시작부터 미국과 유로존의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미국은 9월 비농업 고용보고서를 통해 노동 시장의 견고함을 재확인했다. 이는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핵심 데이터가 됐다.


유로존에서는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되면서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정책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됐다. 일본과 한국도 각종 경제지표를 발표했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한국은행 목표 범위 내에서 안정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장상식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한 언론사 칼럼에서 “미국 관세 부과의 직격탄을 맞은 품목들은 대미 수출이 줄고 있다”고 전제한 뒤 “미국 이외 지역에서는 우리 수출기업들이 선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투자자들은 아세안·유럽·중앙아시아 지역의 수출 증가 기업과 AI·조선·방산 분야 주도 기업을 주목하는 것이 좋다”며 “세계 각국은 미국발 관세 위기를 넘기 위해 미국 이외 시장의 수출을 확대하는 방식을 쓰고 있다”고 조언했다.


미중 무역 긴장과 관세 정책의 변동


도널드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무역과 투자 흐름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이 특정 제품에 대해 신규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기존 관세의 예외 조치를 연장하면서 무역 불확실성이 높아졌다.


특히 제약, 중장비 트럭 등에 고율 관세가 적용됐다. 10월과 11월에는 가구 및 목재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가 예정돼 시장 긴장을 자극하고 있다.


이러한 관세 조치는 일본 기업의 미국 내 생산 확대와 같은 해외 직투자(FDI) 움직임을 촉발하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영향을 주고 있다.


모건스탠리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이클 가펜(Michael Gapen)은 “미국의 이번 관세 정책은 사실상 기업들에 대한 자본세로 작동하고 있다”며 “이는 기업 수익성과 투자 결정, 고용 및 가격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정학적 변수와 한국경제 영향


중동 지역에서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주년을 맞아 긴장 고조가 우려된다. 북미와 유럽에서는 캐나다 연방 선거가 10월 중순 예정돼 있다. 아일랜드에서는 대통령 선거가 임박한 상황이다.


이러한 정치 일정들은 각국 경제 정책과 대외 관계에 변수를 제공한다. 특히 대미 무역 관계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한국은 이번 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국을 맡아 국제 현안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글로벌 경제지표의 둔화 조짐과 미중 무역 긴장은 한국의 수출 환경과 환율 변동성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고율 관세 정책과 글로벌 제조업 경기의 둔화는 수출 주도 한국 경제에 부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일련의 상황들이 원-달러 환율 및 수출입 동향에 직접 영향을 준다고 경고한다. 한국 정부와 한국은행은 이러한 대외 변수에 대응한 정책 조율과 안정화 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 경제전문가는 “중동 사태가 장기화하는 경우 국제 유가와 환율이 빠르게 오르면서 수입 물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교역 위축 등 경제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