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대, 캄보디아 납치된 국민 구조 도움
'이념 아닌 국익'의 행보 돋보인다는 평가
대통령실 TF 가동 "신속 송환, 인력 급파"
민주당, 해외취업사기특위 설치해 대응
캄보디아 범죄 단지에 감금됐던 우리 국민 16명이 구조되는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3선·인천 연수갑)의 행보에 눈길이 쏠린다. 정치권에선 "요즘 민주당 강경파 의원들의 이념에 치우친 강경 행보에 국민들의 피로감이 높아지고 있는 와중에 국민을 위하는 '실용 국익 정치' 행보를 보이는 박 의원의 모습이 돋보인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찬대 의원은 13일 국무조정실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근 캄보디아에서 급증하고 있는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과 관련한 정부의 역할을 질타했다.
박 의원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에게 "외교부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 납치·감금 신고는 2021년 4건에서 2024년 220건으로 늘어났고 2025년 8월 말 기준으로는 330건"이라며 "연으로 환산하면 100회 이상 폭증했다. 국무조정실은 국민 실종 사건이 급증하는 기간에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수행했느냐"고 따져 물었다.
그러자 윤 실장은 "캄보디아와 관련해 그동안 들여다 본 것은 공적개발원조(ODA)와 보이스피싱 관련이며, 캄보디아에 보이스피싱 주범들이 많아 이와 관련해선 집중하고 있었지만, 납치·감금에 대해서는 큰 역할을 못 했다"고 인정했다.
박 의원은 또 "8월에 우리 국민 14명을 구출해 내기 하루 전날 한 명의 청년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며 "이 부분 대해선 너무 아쉬움 많고, 각 기관의 재외국민 보호 업무가 유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다.
윤 실장은 "국무조정실도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고 했다.
박찬대 의원실은 최근 캄보디아에서 감금됐던 한국인 청년의 가족으로부터 구조 요청을 받고, 직접 외교부와 캄보디아 현지 영사관 등과 공조 체계를 구축해 총 16명의 감금 피해자를 구출했다.
박 의원실은 이번 사건에 대해 "'고수익 해외 취업 사기→감금·폭행·보이스피싱 강요'로 이어지는 국제범죄 피해 사례이며, 피해자들은 장기간 쇠파이프·전기충격기 폭행 및 협박, 강제 노동을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박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시선집중'에 출연해 "현재 시스템으로 (납치·실종 의심 신고에) 대응이 어렵다"며 "연락되고 있는 몇몇 건에 집중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철저하게 정부가 나서서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했다.
앞서 박 의원은 지난달 30일 재외국민 사건 사고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 및 평가를 진행하고 실종 신고에 적극 대응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영사조력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기도 했다.
여권 관계자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강성 지지층만을 의식한 언행을 벌이는 의원들이 적지 않은데, 오랜만에 어느 정파에도 치우치지 않고 오직 국민만을 위한 정치를 하는 모습을 박 의원이 보여줘서 굉장히 반갑다"고 했다.
민주당은 당내 '해외 취업 사기 대책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입법 등 대응에 나서기로 힘을 실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후 브리핑에서 박찬대 의원이 대표 발의한 영사조력법을 언급하며 "특위 설치를 검토하고 실태 점검과 입법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이날 대통령실에서 '캄보디아 한국인 범죄 관련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열고 "무엇보다 우리 국민의 신속한 송환이 중요하다"며 "필요하다면 단계적 송환이라도 검토하라"고 관계 당국에 지시했다. 이날 회의에선 한국 수사 당국 관계자들을 현지에 급파해 캄보디아 당국과 수사 공조를 하면서 우리 국민의 구출 상황을 점검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0
1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