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현대차증권, 14일 애널리스트 간담회 진행
오픈AI, HBM 시장 수요 다각화 ‘주도’…삼성전자 수혜 가능성 有
“주가 급등은 불안 요인이나 긍정적 실적…증시 레벨업 주도할 것”
“인공지능(AI) 서버가 글로벌 반도체 수요를 견인하고 있는 가운데 AI 반도체는 2028년 수요의 정점을 찍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14일 여의도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진행된 ‘증권사 애널리스트 간담회’에서 “AI 반도체는 아직까지 인프라 수요인 AI 서버가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인 젠슨 황은 오는 2028년 데이터센터 투자(CAPEX)가 1조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본 바 있다. 이를 감안하면 AI 반도체 투자가 그 시점에서 정점을 찍고, 관련 기업들의 실적이 한 번 더 레벨업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이때 수요 구조의 변화에 주목된다. 그는 “현재 AI 서버 수요는 아마존·구글 등 클라우드 사업자(CSP)가 이끌고 있으나 2028년부터 국가 단위의 AI 인프라 구축, 구독형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비스 기업들에 의해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엔비디아·TSMC·SK하이닉스 중심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요 다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오픈AI다. 오픈AI는 미국이 주도하는 초대형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의 중심이기도 하다.
노 센터장은 “오픈AI가 자체 가속기를 설계하고, 엔비디아·브로드컴·AMD와 대규모 계약을 맺으며 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며 “이는 삼성전자가 HBM 시장에서 기회를 잡을 수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HBM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올해 HBM 시장 규모는 125.5% 증가한 416억 달러로 예상된다. 오는 2028년에는 1077억 달러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그는 “HBM 시장은 PC·스마트폰 수요와 무관하게 성장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HBM 용량 증가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2028년 HBM 용량이 현재보다 2.5배 늘어나면 향후 3년 동안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매출이 2배 가량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노 센터장은 “반도체 기업의 주가 상승 속도가 빠르다는 점은 불안한 요인이지만 실적은 2028년까지 긍정적”이라며 “앞으로도 반도체가 코스피 레벨업을 주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