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 국영수 모두 작년보다 어려워져…"최상위권, 상위권 변별 문제 디테일해"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입력 2025.11.13 19:44  수정 2025.11.13 19:44

"사교육에 문제 풀이 기술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 배제"

"최상위권 변별 위한 문항들, 전년도 수능에 비해서 다소 어렵게 출제돼"

국어, 독서 난도 올라가…수학 작년과 유사, 영어 오답 매력도 높여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이 종료된 1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고 앞에서 시험을 마친 수험생이 학부모와 포옹을 하고 있다.ⓒ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13일 치러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주요 과목인 국어, 수학, 영어 모두 상위권을 겨냥한 변별력 있는 문제들이 출제되면서 전년도보다 조금 어려워진 것으로 분석됐다.


2026학년도 수능 출제위원장인 김창원 경인교육대학 교수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며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했다"고 밝혔다.


EBS현장교사단 총괄을 맡은 한양대사대부고 윤윤구 교사는 "2026학년도 수능의 전체 난도는 작년 수능과 유사한 수준으로 평가했으나 최상위권 변별을 위한 문항들이 전년도 수능에 비해서 다소 어렵게 출제돼 수험생이 느끼는 체감 난이도는 2025학년도 수능과 비교해서 다소 어렵다고 느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전반적으로는 전년도 난이도와 전체적으로 유사한데 최상위권과 상위권을 변별하기 위한 문제들이 조금 더 디테일했다"고 덧붙였다.


영역별로 보면 EBS 국어 대표강사인 충남 덕산고 한병훈 교사는 "독서의 난도가 올라갔지만, 문학이나 선택과목의 난도는 낮아졌다"며 "작년 수능이나 올해 9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사이에서 작년 수능에 약간 근접하고 유사한 난이도를 전체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EBS 수학 대표강사인 인천 하늘고 심주석 교사는 "수학은 전체적으로 작년 수능과 유사하지만, 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한 문항도 적절히 출제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EBS 영어 대표강사인 대원외고 김예령 교사는 "영어는 내용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어려운 지문은 배제하면서도 선택지의 오답 매력도를 전반적으로 높여 변별력을 확보했다"며 "작년 수능보다는 다소 어렵고 9월 모의평가와는 비슷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입시업체도 EBS 현장교사단과 비슷한 입장을 내놨다.


종로학원은 "국어, 수학 모두 변별력 있게 다소 어렵게 출제됐다"며 "지난해 수능과 비슷하거나 다소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지난해 수준일 경우 상위권 변별력 확보까지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의대 모집인원이 올해 1천500여명 줄어들면서 상위권 반수생 유입이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응시집단의 학력 수준 자체가 하락하면서 당초 예상을 웃도는 수준의 표준점수 최고점 상승 등이 나타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예상했다.


국어에서 열팽창과 관련된 여러 개념의 의미와 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독서 12번이 수험생들에게 상당히 까다로웠을 문제로 꼽혔다.


수학에서는 공통과목 22번(수학Ⅰ)과 21번(수학Ⅱ), 확률과 통계 30번, 미적분 30번, 기하 30번 문항이 변별력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에서는 문장 삽입 문항인 39번과 빈칸 추론 문제인 34번이 까다로웠을 것으로 평가됐다.


한편 올해 수능 지원자는 55만4174명으로 전년보다 3만1504명(6.0%) 늘면서 2019학년도(59만4924명) 이후 7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출산율이 높았던 '황금돼지띠'인 2007년생이 고3으로 수능을 보면서 재학생이 3만1120명 증가한 37만1897명(67.1%), 졸업생은 1862명 줄어든 15만9922명(28.9%)으로 각각 집계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