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섭 "KT 소액결제 피해 대응 무책임"
경찰 통보 및 언론 보도에도 거짓 해명
김영섭 "고객 불안감 죄송…혁신하겠다"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KT 소액결제 피해 관련한 회사의 늑장 대응 및 거짓 해명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14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KT가 소액결제 피해는 있지만 개인정보 유출은 없다고 답했는데 이는 '때리긴 했지만 폭행은 아니다'라는 무책임한 답변"이라며 "피해자들이 피해를 입었는지 확인하는 절차도 까다로웠다"고 지적했다.
앞서 8월 초부터 9월 초까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등을 돌며 KT 기지국을 가로채는 방식으로 다수의 시민 휴대전화에서 상품권 등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벌어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8월 말에서 9월 초 불거진 무단 소액결제 사태를 두고 경찰이 KT에 관련 의혹을 전달했지만, KT는 해킹될 가능성이 없다며 초기 대응에 소극적이었다는 질타를 받고 있다. KT는 9월 5일에야 비정상 소액결제를 차단했고, 이후 같은 달 15일 서버 해킹에 따른 이용자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파악하고 뒤늦게 신고를 진행했다.
김 의원은 "8월 5일에 최초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했고, 경찰이 KT에도 피해 사실을 통보했으나 KT는 경찰 통보를 바로 부인했다"며 "언론 보도가 나왔을 때도 부인하다가 소액결제 차단조치를 실시했다. 그 시간에 차단했으면 피해가 없지 않았겠냐"고 강하게 질타했다.
또 김 의원은 "피해자들이 피해를 입었는지 확인하는 절차도 까다로웠다. 무책임한 대응이었다"며 "피해금액만 362억, 피해 고객만 2억4000만원이다. SKT도 유심 해킹이 있었을 때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메시지를 보냈는데 여긴 피해자에만 (안내 문자를) 보냈더라"고 비판했다.
이에 김영섭 KT 대표는 "전체 고객에게 통지하면 상관없는 고객들까지 도리어 우려하는 상황이 벌어질까봐 신중하게 생각했다"고 답했다.
김 대표의 해명에 김 의원은 "그걸 기업이 선제적으로 판단할 일이 아니다"라며 "무책임한 대응을 한 것이다. 소비자 핑계대면 안 된다"고 응수했다.
김 대표는 "KT가 여러 가지를 잘못 관리해서 사전 예방조치를 못했다. 이에 고객을 불안하게 한 점에 대해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혁신해 나가고자 한다"고 부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