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 가능성·경제 편익 등 지적에
“충분한 이익 있을 것으로 판단”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북극항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제성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에서 북극항로 개항 가능성이 낮고 경제적 실익이 없다고 문제를 제기하자 이를 반박한 것이다.
전 장관은 15일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전 장관은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세계 3대 선사들이 환경과 안보 문제를 우려하면서 (북극항로가 열려도) 기존 항로를 유지하겠다고 발표했다”며 북극항로 이용을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하자 “머스크라든지 CMA-CGM 같은 경우는 겉으로 (북극항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완전히 다르다”고 반박했다.
전 장관은 “MSC나 CMA-CGM 같은 경우는 아무리 이익이 많이 나더라도 북극항로를 이용하지 않겠다고 ‘북극보호서약’에 가입을 해 놓고, 특히 CMA-CGM은 올해 2월에 쇄빙선 4척을 구매했다”며 “(쇄빙선 구매 이유는) 북극항로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전 장관은 “북극항로가 열렸을 때 상업 항로가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알고서 (세계적인 선사들이) 내부적인 준비를 다 하고 있고, 특히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쇄빙선 15척 구매 계약을 발주를 했다”고 덧붙였다.
러시아와의 관계 문제도 언급했다. 조경태 의원이 “현재 (북극항로 중심지인) 러시아와의 관계가 적대적이다. 이런 속에서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고 지적하자 전 장관은 “위원님 말씀에 동의한다”면서도 “그러나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앞으로 5년을 더 하겠냐”라며 북극항로 개척 의지를 재확인 시켰다.
나아가 “얼마 전 푸틴(러시아 대통령)이 동방경제포럼에서 미국에 북극항로 공동개발까지 이야기했다”며 “푸틴도 이게 공동개발 하더라도 충분히 이익이 있기 때문에 그런 제안을 미국이 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 장관은 “기항지, 환적 인프라 등 이런 부분들을 충분히 고려해서 (북극항로 개항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