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국가채무비율 80∼90%가 한계…지속 상승 고민해야" [2025 국감]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입력 2025.10.20 17:11  수정 2025.10.20 17:11

이창용 한은 총재, 기재위 국정감사 출석

"원화, 국제화 안 돼…채무비율 선진국보다 낮아야"

"중장기적으로 국가채무 증가율 3% 정도로 낮춰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과 관련해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는 적정 한계를 80~90%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2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의 "국가채무비율의 임계 수준은 얼마라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원화가 기본적으로 국제화가 되지 않은 통화인 만큼 우리나라 국가채무비율(GDP대비)은 선진국보다 확실히 낮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 관련기사 보기
이창용 "통화스와프 검토한 적 없어…장기투자 목적 안돼" [2025 국감]
이창용 "서울 집값 다시 과열 조짐…가계대출 불확실성 증대" [2025 국감]


아울러 "중장기적으로는 (국가채무 증가율을) 3% 정도로 낮춰야 한다"며 "지금처럼 4%씩 계속 늘어날 경우 2029년 거의 60%에 이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국가부채 증가 지속 가능성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