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부실 책임은 어디에…유통업 회생의 그늘 [회생잔혹사③]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입력 2025.10.24 07:00  수정 2025.10.24 07:00

티메프 사태 발생 1년 지났지만 경영진 처벌은 아직

피해자들만 또 다른 희생 강요…홈플러스도 마찬가지

업계 "경영진들이 끝까지 책임 지는 구조 마련 절실"

지난해 7월 티몬 본사 앞에 피해자들이 모여 있다.ⓒ데일리안DB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났지만 정작 책임을 져야 할 경영진에 대한 처벌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피해자들만 여전히 고통을 받고 있다.


티메프의 대규모 미정산 사태 책임자로 지목된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와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대표 등 경영진은 사기·횡령, 근로기준법·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관련 재판에서 혐의를 전면 부인하며 법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반면 티몬 피해자들은 회생채권 변제율이 0.76%에 불과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손해 본 피해자는 고작 7600원만 받는 셈이다.


위메프의 경우 지난달 회생이 불가능하다며 회생 폐지 결정으로 파산 수순을 밝게 되면서 피해자들은 단 한 푼도 돌려받을 수 없게 됐다.


정작 책임을 져야 할 경영진들은 법망을 교묘히 피해가는 사이 티몬 4만명, 위메프 6만명 등 총 10만명의 피해자들만 희생을 하고 있는 셈이다.


기업회생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위해 새 주인을 찾고 있는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에 대한 책임론도 대두되고 있다.


특히 MBK파트너스는 297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롯데카드의 최대주주이기도 하다.


이에 MBK파트너스의 수장인 김병주 회장은 올해 국정감사(국감)에 단골 증인으로 이름을 올렸다.


김 회장은 지난 14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며 “홈플러스 임직원 및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그는 올 3월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된 사회적 책임과 책임경영을 위해 사재출연을 하겠다고 발표했다.


사재 출연과 지급보증 등으로 총 2500억원을 투입한 데 이어 추가로 2000억원을 현금 증여하는 등 총 5000억원 규모의 지원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정치권에서는 이 중 대부분이 대출 연대 보증 형태로 실질적인 현금 지원이 아니라고 지적하면서 추가 사재출연을 압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정무위 국감에서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며 선을 그었다.


MBK파트너스는 지난 22일 사회적 책임 위원회를 공식 출범했다.


위원회는 MBK의 투자 활동에 있어 사회적 책무의 이행 여부를 감시하고, 주주, 임직원, 고객 및 협력사 등 여러 이해관계자에 미칠 여파를 점검해 갈등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홈플러스는 최근 매각 방식을 스토킹 호스에서 공개 경쟁입찰로 전환해 인수자를 찾고 있다.


입찰 희망 기업은 이달 31일까지 인수의향서 및 비밀유지확약서, 회사 소개 자료 등을 제출해야 한다. 예비실시 기간은 다음 달 3일부터 21일까지이며, 최종 입찰서 접수일은 같은 달 26일이다.


업계 및 전문가들은 피해자의 또 다른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경영진들이 끝까지 책임을 지는 구조가 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경영진들은 주로 국내 최대 로펌을 고용해 법망을 빠져나가고 있다”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함께 보증보험 가입 의무화 등 피해자 구제를 위한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티몬·위메프 피해자들이 모인 검은우산비대위원회(비대위)도 “티메프 사태는 단순한 기업 실패가 아닌 경영진의 사기 행각에 의한 사회적 재난”이라며 “피해자들이 명백한 사기 피해자인 만큼 정부가 새로운 인수 방법을 모색하거나 직접 인수의 가능성까지 타진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전했다.


<끝>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