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모빌리티 상용화 위한 핵심 기술 공동 연구
재사용 비행체·발사체 기술 협력 통해 경제성 강화
“산학 협력으로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 기여”
김지홍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전무(왼쪽)와 이대우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23일 일산 킨텍스에서 ‘우주모빌리티 사업화를 위한 재진입 비행체 개발 기술협력’ 업무협약(MOU) 체결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3일 부산대학교와 ‘우주모빌리티 사업화를 위한 재진입 비행체 개발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KAI와 부산대는 업무협약을 통해 재진입 비행체 개발사업 탐색 연구, 재사용 우주비행체 연구, 재사용 발사체 연구 개발 등 국내외 시장에서 상업화할 수 있는 우주모빌리티 핵심 기술 개발을 협력할 예정이다.
이대우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대기권 재진입 비행체의 유도제어, 비행 제어 및 궤적 설계·해석 등의 핵심 기술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 현재 우주항공청의 ‘재진입 비행체 개발사업 탐색연구 과제’를 진행 중이다.
회사 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위성 및 발사체 등 우주사업과 고정익, 회전익을 망라한 다양한 항공기 개발·제조 역량을 보유한 KAI가 컨소시엄에 참여하면서 상호 전문 분야에서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김지홍 KAI 원장은 “재사용을 통한 경제성 확보가 앞으로 우주사업의 핵심”이라며 “이번 산학 협력을 통해 재진입 비행체의 핵심 기술 고도화가 기대되며, 이는 국가 차원의 우주 관련 핵심 기술 확보와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의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