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민심 악화에도
국민의힘 지지율 20%대 박스권
'보수 아젠다' 모두 뺏은 李정권
"하루 빨리 당 기조 바꿔야"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31일 서울 강남구 세텍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서울시당 당협위원장 및 선출직 공직자 워크숍에서 배현진 서울시당위원장 등 참석자들과 함께 구호를 외치고 있다. ⓒ국민의힘
최근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후폭풍 등으로 정부·여당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으나, 그 반사이익이 국민의힘으로 옮겨가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수 개월 째 20%대에 머물며 '박스권'에 갇힌 상황으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의 체질 개선이 시급하단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주요 여론조사에서 줄곧 20%대 초반에 머물고 있다. 지난 6월 둘째 주 21%대로 떨어진 이후 의미 있는 반등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갤럽이 지난 28~30일 무선 100%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국민의힘은 26%를 기록했다. 전주 대비 1%p 상승했지만, 최근 10·15 부동산 대책 논란,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관련 의혹, 민주당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자녀 결혼식 축의금 논란 등을 고려하면 기대에 못 미친다는 분석이 나온다.
같은 기간 민주당 지지율은 41%로 전주보다 2%p 하락했으나, 여전히 국민의힘과 격차가 크다. 결국 정부·여당에 대한 불만이 제1야당으로 흘러가지 않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단 것으로 풀이된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배경으로는 여전히 남아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파장과 더불어 국민의힘이 보수정당으로서의 정체성과 제1야당 역할을 선명하게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미국의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코스피 4000 돌파 등 안보·경제 이슈에서 이재명 정부가 '보수 의제'를 선점하면서 국민의힘이 색채를 잃었다는 해석이다. 20대와 70대 중심의 지지층 구도 역시 확장성에 한계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우리가 정당 지지율을 볼 때 연령별로 나눠볼 필요가 있다. 지금 국민의힘 정당 지지율은 20대와 70대에서만 조금 앞서고 있는데, 20대 인구 비중은 18~19세까지 합쳐도 17%되고, 70대이상은 16~17% 정도 될 것"이라면서 "반면 민주당은 '586' 영향을 받는 50대를 비롯해 40대와 60대 그리고 30대에서도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엄 소장은 "왜 30대부터 60대까지는 민주당을 지지할까. 이 부분을 봐야한다. 최근 한미정상회담을 보면 핵잠수함 등 안보 이슈를 여권이 다 장악했고, 경제도 마찬가지로 코스피 5000을 바라보고 있다. 40~60대는 주식을 투자하는 연령대에다, 부동산대책도 보면 집을 가진 사람을 대체로 보호하는, 기득권을 인정해주는 그런 대책이다. 따라서 국민의힘이 보면 뭔가 이슈를 주도하고 있는 것이 없다"고 진단했다.
이어 "경제·안보·증시 모두 뻇기고 국민들은 도대체 국민의힘이 뭐하는 정당인지 알 수가 없는 것"이라며 "지지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것인데, 이런 것들 때문에 투명조직이 됐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이 새로운 의제를 발굴하고 주도권을 되찾아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내년 지방선거가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지금이 당 이미지 변화의 '골든타임'이라는 지적이다.
엄 소장은 "예를 들어 주식 증시가 4000을 넘고 드라이브를 거는데 국민의힘의 경제 정책은 무엇인지 등 나와 있는 게 아무것도 없지 않느냐"라며 "안보 분야만 하더라도 국민의힘의 안보 정책이 무엇인지 나와야 한다. 장사를 하려고 영업점은 문을 열었는데 장사할 물건이 하나도 없는 상황"이라고 비유했다.
그러면서 "만약 국민의힘이 지선을 코 앞에 두고 이미지를 바꾸려면 국민들은 진정성을 인정 못할 것"이라며 "당 이미지를 바꾸려면 지금이 적기다. 특히 유승민·이준석과 같은 어떤 카드를 쓰려면 당의 기조를 바꿔야 한다. 지선까지 패배한다면 국민의힘은 앞으로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