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보위, 4일 국가정보원 국정감사
"APEC 계기 북미회동 대비 동향 확인"
"김정은, 조건 갖춰지면 美와 접촉 나설 것"
국정원 "내년 3월 추진이라 보고한 적 없다"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국회사진기자단
국가정보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간의 미북 회담이 내년 3월로 예정된 한미연합훈련을 분기점으로 보고, 해당 훈련 이후 열릴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김 위원장이 물밑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동을 대비한 동향이 확인됐다는 주장이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박선원 더불어민주당·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은 4일 서울 내곡동 국정원 청사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국정원이 이같이 보고했다고 브리핑에서 밝혔다.
국정원은 "관심을 모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 회동이 불발됐으나 물밑에서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를 대비해 둔 동향이 다양한 경로로 확인되고 있다"며 "미 행정부의 대북 실무진 성향을 분석한 정황이 확인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어 "북한의 핵 보유국 레토릭(수사)에 있어서도 미묘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며 "김정은이 미국과 조건부 대화를 시사한 최고인민회의 이후 핵무장에 대한 직접 발언을 자제하며 수위 조절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덧붙였다.
또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아시아 순방 시 김정은과 만남 의향을 표명한 상황에서 대화 여지를 감안해 (북한) 최선희 외무상의 중국·러시아 방문을 막판까지 고심했던 게 포착됐다"며 "국정원은 김정은이 대미 대화의 의지를 갖고 있으며 향후 조건이 갖춰지면 미국과 접촉에 나설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특히 국정원은 향후 미북 관계에 대해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며 "북한에서 미국 내에 있는 국제 및 대북 일꾼들과 여러 지도자 인사들에 대한 정보를 최근 들어 많이 축적하고 있는 것을 하나의 증거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선원 의원은 "러시아와의 밀착, 북중 관계 개선을 바탕으로 북미 관계를 추진 중이며, 내년 3월 한미연합훈련 이후 북미정상회담도 다시 추진하지 않을까"라고 관측했다.
하지만 국정원 측은 재차 기자들과 만나 자리에서 "우리는 내년 3월에 북미정상회담을 추진하지 않을까 전망한다 이렇게 보고한 적은 없고 한미연합훈련이 북미 회담과 관련한 정세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정원은 김정은 위원장과 관련해 "김일성을 뛰어넘는 통치 기반 구축을 위해 독자적 우상화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도 보고했다.
이에 대해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기저질환이 있다고 알려졌음에도, 지방과 평양을 오가는 장시간 이동과 각종 행사를 무리 없이 소화하고 있어 건강에 큰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고혈압 가능성이 꽤 높았는데 낮아진 걸로 평가된다"고 운을 뗐다.
또 국정원은 특히 김 위원장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을 영웅화해 자신의 주요 업적을 부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여러 요소를 통해 대한민국에 직접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고, 이를 통해 지도력을 부각하고 있다"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접경지역, 특히 러시아의 땅이었던 쿠르스크를 우크라이나로부터 탈환한 것을 1950년대에 이어 새로운 전승 신화로 만들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전해졌다. 전승 박물관을 설립하려는 동향도 포착됐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의 후계자로 분석되는 딸 김주애를 두고는 "올해 처음으로 외교 분야까지 활동 반경을 넓히면서 유력한 후계자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는데 중국 동행 이후에 공개 활동이 상당히 낮아져서 예년 수준을 보이고 있다"며 "김주애가 최근 60일 동안은 잠행 중이다. 김정은보다 후계 논의가 너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