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상승 지속…서울 3.3㎡당 평균 4547만원
고강도 규제로 수요자 주택 구입 비용 부담 가중
낮은 초기 자금 부담에 안정적 투자 가치로 주목
ⓒ뉴시스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서 분양가 상승과 대출 규제 강화가 맞물리며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의 부담이 커지면서 수도권 비규제지역 내 분양가상한제(분상제) 단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전망이다.
6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약 1948만원으로 전월 대비 0.58%, 전년 동월 대비 3.77% 각각 상승했다.
서울은 약 4547만원으로 1년 새 2.96% 올랐고 같은기간 수도권도 2876만원으로 3.18% 상승해 꾸준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정부는 10·15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 전역과 경기 과천·성남·수원·안양·용인·의왕·하남 등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및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지정했다.
또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주택가격에 따라 15억원 이하 6억원, 15억~25억원 4억원, 25억원 초과 2억원으로 제한했다. 규제지역 내 무주택자의 담보인정비율(LTV)도 최대 40%로 축소됐다.
이러한 환경에서 분상제 단지가 합리적인 가격과 안정적인 투자 매력으로 주목 받고 있다. 정부가 분양가를 일정 수준 이하로 통제하기 때문에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돼 수요자는 초기 자금 부담을 낮출 수 있다.
ⓒ더피알
동시에 가격 경쟁력이 확보된 상태에서 공급되므로 향후 시세 상승에 따른 투자 안정성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수도권 비규제지역에서 공급되는 분상제 단지는 대출 규제의 제약을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자금 계획이 용이하다.
과거에도 규제를 피한 인접 지역이 상승세를 보였던 만큼 이번에도 인근 규제지역의 수요가 유입되며 시장 관심이 이어지고 안정적인 투자처로서의 가치까지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업계에서는 올 연말까지 수도권 비규제지역 곳곳에서 분양가상한제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모아주택산업·로제비앙건설은 11월 경기도 시흥시 시흥거모지구 B6블록에서 ‘시흥거모 엘가 로제비앙’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최고 25층, 5개 동, 전용면적 61·84㎡, 총 480가구 규모다.
4호선·수인분당선 신길온천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고 단지 내 어린이집과 함께 도보권에는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계획) 부지가 자리한다.
BS한양은 같은 달 김포 풍무역세권에 B2블록에서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9층, 10개동, 총 1071가구 규모다. 풍무역과 사우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어 교통편의성이 뛰어나며 김포 최대 규모의 학원가와 사우초등학교가 도보거리에 자리해 교육 환경이 좋다.
동양건설산업은 11월 인천 검단신도시에서 AA33블록에서 총 569가구 규모의 ‘검단호수공원역 파라곤 메트로파크’를 선보일 예정이다. HL디엔에이한라도 같은 달 수원 당수지구에서 ‘서수원 에피트 센트럴마크’ 407가구 분양을 계획 중이다.
계룡건설과 한신공영 컨소시엄은 수원 당수지구에서 분상제 아파트 ‘엘리프 한신더휴 수원’의 견본주택을 오픈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한 상태다. 단지는 2개 블록(C3·D3블록)에 총 1149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블록별 가구수는 C3블록 452가구, D3블록 697가구 등이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치솟는 분양가와 강화된 대출 규제가 맞물리면서 수도권 규제 지역 내에서는 내 집 마련이 더욱 어려워졌다”며 “이에 상대적으로 분양가가 합리적이고 대출 부담이 적은 비규제 지역 분상제 단지로 수요가 몰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