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아시아 소재 제약사와 증액 계약
올해 누적 수주액 5조5959억원 달성
생산력 기반 글로벌 CDMO 경쟁력 강화
삼성바이오로직스 본사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아시아 소재 제약사와 5552만 달러(약 765억원) 규모의 위탁생산(CMO) 증액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공시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5월 해당 제약사와 1억4403만 달러(약 1985억원)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에 증액으로 총 계약 금액은 약 2751억원으로 늘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4일에도 유럽 소재 제약사와 2억15만 달러(약 2759억원) 규모의 CMO 증액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올해 공시 기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누적 수주 금액은 5조 5959억원이며, 창립 이래 누적 수주 총액도 2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결 및 별도 기준 모두에서 2분기 실적 발표 시 상향 조정했던 연 매출 성장 가이던스(25~30%)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CDMO 경쟁력으로 빅파마 신뢰 확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견조한 실적 및 성장 배경에는 압도적인 생산력, 품질, 다수의 트렉레코드 등 핵심 경쟁력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고객의 생산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생산 능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4월 18만L 규모의 5공장을 완공해 총 78만4000L의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최근에는 동등성과 속도를 핵심 가치로 고객에 일관된 품질의 의약품을 신속히 공급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생산 체계인 신규 CMO 브랜드 ‘엑설런스’를 출시했다.
품질 경쟁력 측면에서도 성과를 이어오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99%의 배치(Batch) 성공률을 기록했으며, 2025년 11월 기준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총 395건의 제조 승인을 획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 능력 확대에 따라 승인 건수는 지속 증가 중이며, 규제기관 실사 통과율도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톱 20개 제약사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일본에서는 상위 10개 제약사 중 4곳과 계약을 체결하고 1곳과는 최종 협의 단계에 있는 등 글로벌 상위 40개 제약사를 대상으로 한 수주 활동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생산력, 서비스, 네트워크 확장 기반 글로벌 시장 공략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 능력 확대 ▲포트폴리오 확대 ▲글로벌 거점 확대 등 ‘3대 축 확장’ 전략을 토대로 수주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생산 수요에 맞춰 선제적으로 생산 능력 확대에 나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4월 완공한 5공장을 시작으로 2032년까지 제2바이오캠퍼스에 6~8공장 건설을 완료해 총 132만4000L 규모의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포트폴리오 다각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6월 ‘삼성 오가노이드’ 서비스를 출시하며 임상시험수탁(CRO) 분야에 진출했다.
올해 1분기부터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생산 시설 가동에 돌입했으며,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시장 진출을 위한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위탁개발(CDO) 사업 진입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최근 국제 통상 환경 변화 및 약가 인하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2건의 위탁생산 증액 계약을 잇따라 체결하며 견조한 수주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