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힘빼기’ 기조 속 산은·수은 내부 인사 잇따라
IBK 연체율 1%·부당대출 논란…‘내부 안정 vs 외부 혁신’ 이견
내년 초 임기 만료를 앞둔 IBK기업은행장 인사에도 국책은행 ‘내부 승진’ 기조가 이어질지, 부실관리·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외부 쇄신형’ 인사가 단행될지 관심이 쏠린다.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에 잇따라 내부 출신 수장이 선임되면서 국책은행 인사 기조가 관료 중심 관례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 초 임기 만료를 앞둔 IBK기업은행장 인사에도 ‘내부 승진’ 기조가 이어질지, 부실관리·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외부 쇄신형’ 인사가 단행될지 관심이 쏠린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신임 한국수출입은행장에 황기연 상임이사가 임명됐다.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에 이어 국책은행 수장 자리에 내부 인사가 연이어 발탁된 것이다.
그간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 등 관료 출신이 수은·산은 등 정책금융기관장을 맡아왔지만, 정부의 ‘기재부 힘빼기’ 기조가 금융권 인사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내년 1월 2일 임기 종료를 앞둔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의 후임 인사의 향방에 시선이 모이고 있다.
기업은행은 별도 임원추천위원회 없이 금융위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역대 행장 중 대다수가 관료 출신이었지만 최근 10년간은 윤종원 전 행장을 제외하고 4명이 내부 승진 인사였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국책은행 인사가 모두 내부 출신 인사가 기용되면서 기업은행도 같은 기조가 이어지지 않겠냐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다만 최근 기업은행의 리스크 관리 성적표가 변수로 떠올랐다. 기업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금융위기 수준으로 올라섰고, 882억원 규모의 부당대출 문제가 불거지며 내부 통제에 빨간불이 켜졌기 때문이다.
기업은행이 발표한 올해 3분기 대출 연체율은 1.00%로,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1.0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분기(0.91%)보다 0.09%p(포인트) 상승했으며,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0.53%)보다 두 배 가까이 높다.
금융원 관계자는 “기업은행 대출의 90%가 중소기업이다 보니 개인 대출이 많은 시중은행 대비 연체율이 소폭 높다”며 “정책적으로 취약한 위치에 있는 기업들에 대한 지원이 많은 편이기도 했으나 코로나19 여파와 대내외 경기 불안이 함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지난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논란이 된 882억원 규모 부당대출 사고와 축소 보고 의혹 등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내부통제 강화 필요성이 커진 상황에서 외부 출신의 쇄신형 인사가 단행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국정감사에서 부당대출이 거론되는 등 쇄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며 “분위기 전환 차원에서 금융쪽에서 경험이 풍부한 외부 출신을 임명하지 않을까 한다”고 평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