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은행 가계대출 3조5000억 ↑…주담대 둔화에도 증가폭 확대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입력 2025.11.13 12:00  수정 2025.11.13 12:01

주택담보대출, 934조8000억 기록…전월 比 2조1000억 ↑

대기업·중소기업대출 모두 증가…전월 比 5조9000억 늘어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전월에 비해 확대됐다.ⓒ한국은행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전월에 비해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는 둔화됐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늘면서 전체 증가폭을 끌어올렸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0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173조7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5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은 2조1000억원 늘어 934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전세자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7~8월 주택거래 둔화의 영향이 반영되면서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 잔액은 1조4000억원 늘어 238조원을 기록했다. 국내외 주식투자 확대와 '10.15 대책'을 앞둔 주택거래 선수요, 장기 추석연휴 등에 따른 자금수요가 맞물리면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 전환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366조원으로, 전월 대비 5조9000억원 늘었다.


대기업대출은 2000억원 증가한 294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에도 운전자금 수요 감소, 대체조달 수단 활용 등으로 증가규모가 상당폭 축소됐다.


중소기업대출은 5조7000억원 늘어 107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은행들의 대출영업 지속과 지난달 31일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증가규모가 확대됐다.


▼ 관련기사 보기
한은 "편향된 기대심리, 집값 상승세 부추겨"
한은, 헝가리중앙은행과 협력 강화한다…"유럽 내 전략적 요충지"


은행 수신은 22조9000억원 감소했다. 수시입출식예금(-39조3000억원)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시 예치되었던 법인자금 유출,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큰 폭 감소했다.


정기예금(+13조6000억원)은 가계자금이 일부 유출됐으나 일부 은행의 규제비율 관리를 위한 예금 유치, 지자체 재정자금 일시 예치 등으로 상당폭 증가 전환했다.


회사채(+7000억원)는 견조한 투자수요 등으로 순발행이 지속됐다. 다만, 장기 연휴에 따른 전월 선조달의 영향으로 규모가 축소됐다.


CP·단기사채(+7000억원)는 분기말 일시상환분 재발행 등 으로 순발행 전환했다.


국고채(3년) 금리는 이달 12일 기준 2.92%로 지난 9월 말보다 0.34포인트(p) 올랐다. 10월 하순 이후 금융안정에 대한 경계감, 경기개선 기대 등으로 큰 폭 상승했다.


주요 단기시장금리는 금리인하 기대 변화, 발행물량 확대 등의 영향으로 은행채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코스피는 반도체 업황 호조 및 국내 주요 기업 실적 개선, 한·미 관세협상 타결 등으로 큰 폭 상승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