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원 6명 중 3명 3개월 후 금리 2.5% 유지 입장"
"나머지 3명은 인하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
"고환율, 변동성보다 한방향으로 쏠려가는 점 우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7일 "당분간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과 동결을 이어갈 가능성을 모두 열어놓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이날 오전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는 금융안정을 고려할 때 중립 금리 수준에 와 있다"면서 "기준금리 인상을 논의할 단계는 아닌 것 같다. 현시점과 3개월 뒤 전망 얘기할 때 금통위원 중 금리 인상 가능성 논의하자고 한 분은 없었다"고 했다.
금통위 내부 의견은 반반씩 갈렸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 6명 중 3명은 3개월 후 금리를 연 2.5%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이라며 "나머지 3명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23일과 비교하면 인하 의견이 4명에서 3명으로 줄면서 동결 의견과 동수가 됐다.
이 총재는 "동결 가능성이 크다고 한 3명은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고 물가 우려도 증대된 만큼 당분간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머지 3명은 성장 경로의 상·하방 위험이 있고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금리 인하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했다.
이와 별도로 신성환 금통위원은 금리를 연 2.25%로 인하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제시했다. 지난 8월과 10월에 이어 세 차례 연속 인하 소수의견이다.
이 총재는 또 원·달러 환율이 치솟는 것과 관련해 "최근 환율 변동성보다 너무 한 방향으로 쏠려가는 점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외채가 많았을 때와 달리 시장에서 금융위기를 얘기하지 않는 것처럼 외환시장 불안은 없다"며 "대신 고환율로 인해 물가가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