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접목한 스마트한 아파트가 몰려온다
건설업계 신규 아파트 내 스마트 시스템 적용해 차별화 시도
아파트가 갈수록 스마트해지고 있다. 최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앞세운 설계로 관리비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 안전과 방범 시스템도 크게 강화되는 추세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분양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가운데 새로이 공급되는 아파트들마다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기존 거실벽에 있던 월패드의 기능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통해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각종 기능을 추가해 관리비 절감이나 보안 기능을 한층 강화한 것.
업계 관계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아파트 스마트홈 분야의 기술이 날로 진화하고 있다"면서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기술이 등장하면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세대 내 원격조정이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건설이 개발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HAS(Hillstate Smartphone Application System)의 경우 스마트폰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 집안 내부의 에너지 관리를 할 수 있다. 앱을 통해 세대 내 전기·가스·수도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과다 사용할 경우 경고를 통해 에너지 절감을 유도한다.
삼성물산은 지난해부터 블루투스 기술이 도입된 홈네트워크 시스템 ‘스마트 네트워크 하스(Smart Network HAS)’를 도입했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현관 ‘스마트 인포 디스플레이(Smart Info Display)’,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을 가진 전용욕실 ‘블루폰’도 개발했다.
스마트 인포 디스플레이는 현관입구에 터치식 디스플레이 SID(Smart Information Display)를 통해 평상시엔 거울로 사용하고, 필요시 LCD 화면을 통해 날씨와 지하주차장 차량 위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 NFC 기능을 활용해 가족의 메세지나 일정, 바이오리듬 등의 맞춤형 정보도 제공한다.
대림산업도 스마트홈 애플리케이션 대쉬(DASH, Daelim Application for Smart Home)을 개발했다. DASH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스마트기기만으로 집 안팎에서 가스, 조명, 난방 제어 및 가스, 전기 에너지 사용량 확인 등 월패드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전에는 월패드의 녹화 영상을 통해 방문객을 확인했지만 이제는 DASH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문객을 확인하고 대화도 할 수 있다.
대우건설의 경우 홈네트워크와 연동한 ‘스마트 도어카메라’를 통해 방범과 보안을 한층 강화했다. 이는 가구 현관 앞에 사람이 접근하면 스마트 도어 카메라가 자동으로 촬영해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사진은 외부에서 스마트폰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주거 환경에 ICT기술이 접목되면서 주택이 단순히 잠을 자고 삶을 영위하는 공간에서 보다 스마트한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면서 "특히 아파트 관리비 절감이나 방범 보안이 뛰어난 아파트들이 주목을 받고 있는 만큼 건설사들의 세대 내 최첨단 ICT(정보통신기술)접목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