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국회 복귀해야" 야 "타협 무슨 의미"
새정치민주연합은 28일 국회법 개정안을 두고 당청·계파 갈등을 겪고 있는 여권을 겨냥한 반면 새누리당 국회 의사일정 거부를 선언한 야당에게 복귀를 주문했다.
김영록 새정치연합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 행사를 정쟁에 악용하는 모습에 국민은 실망과 분노를 금치 못하고 있다"며 "국회법 개정안은 여야가 합의하고 국회의장이 직접 중재안을 만든 것인데 여당은 자동폐기로 당론을 모았다고 하니 도대체 여야의 대화와 타협은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의화 국회의장은 당초 소신대로 대통령 눈치 보지 말고 국회법 개정안을 즉각 재의결 에 부칠 것을 촉구한다"며 "여당 또한 청와대의 줄세우기식 압력에 굴복하지 말고 본연의 책무를 다해 재의결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당 박수현 원내대변인도 "지금의 청와대와 여당에겐 '국민'도 없고 '안전'도 없다"면서 "청와대와 여당은 정쟁을 즉각 중단하고 국민들을 위한 국정에 전념할 것을 촉구한다"고 가세했다.
그는 "메르스 사태를 책임져야 할 박근혜 대통령이 나서서 정쟁의 원인을 제공하고 친박계 의원들이 나서서 정쟁의 불씨를 키우고 있는 꼴"이라고 꼬집었다.
반면 새누리당은 국회 일정 전면 보이콧을 선언한 야당을 겨냥하며 맞불을 놨다. 김영우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국회 보이콧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께 돌아간다"며 "야당이 국민을 위해 있어야 할 곳은 국회 상임위장과 본회의장임을 생각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국회의 소임은 입법을 통해 국민의 삶을 챙기고 윤택하게 만드는 일"이라며 "하지만 야당은 민생과는 전혀 상관없는 이유로 국민들께 꼭 필요한 법안들의 처리를 가로막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임위와 법사위에서 여야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지난 25일 본회의에서 처리만 남겨두었던 60여개의 법안들도 언제 처리될지 기약이 없는 상황"이라며 "이는 국회의 소임을 방기하는 것이고 국민의 삶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