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다가오는 선택의 시간, 안철수의 선택은?


입력 2016.06.28 10:18 수정 2016.06.28 10:20        전형민 기자

시간 지날수록 안 대표 선택지 줄어들어…

호남에서조차 "책임지지 않으면 살 수 없다"

4.13총선 당시 선거 홍보물 리베이트 수수 지시 및 보고 받은 의혹이 제기된 박선숙 국민의당 의원이 27일 오전 서울 마포구 공덕동 서부지방검찰청으로 출석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시간 지날수록 안 대표 선택지 줄어들어…
호남에서조차 "책임지지 않으면 살 수 없다"


국민의당 '리베이트 의혹'의 핵심 인물인 박선숙 의원이 27일 오전 검찰에 출석했다. 정치권은 이제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의 선택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 수사의 칼 끝이 안 대표의 최측근인 박 의원까지 닿은 만큼 최종 수사결과에 따라 안 대표가 '책임'지거나 '선택'해야하는 상황이 닥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스스로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았던 '도덕성'의 문제에 최측근이 걸려들어 내부로부터의 문제도 문제지만, 그동안 4·13 총선 승리를 핑계삼아 억누르고 있던 호남 지역 의원들의 불만도 터져나올 기미가 보이는 점은 '엎친데 덮친 격'이다. 정치권은 검찰의 수사가 크게 세 가지 갈래중 한 가지로 결론지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첫 번째는 왕주현 사무부총장의 단독행동으로 결론지어 지는 경우다. 24일 검찰은 왕 사무부총장에 대한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했고 이와 관련한 실질심사가 진행중이다. 이 경우 안 대표는 지금처럼 포괄적인 사과 수준에 머무르는 선에서 이번 사건을 정리할 수도 있다. 실무자의 일탈 수준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안 대표는 왕 사무부총장을 '출당' 등의 중징계 조치하고 대국민사과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 등을 제시하면서 최대한 조용하게 사건을 수습하면 된다.

당 일각에서는 왕 사무부총장이 과거 진심캠프에서부터 안 대표와 함께 일했고 어찌됐든 핵심 당직자인 만큼 당 대표 차원의 책임있는 행동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다. 이들은 '책임있는 행동'으로 '당 대표 사퇴' 등을 언급하기도 한다. 하지만 안 대표가 여전히 당의 핵심 인사로 인지도가 있고 안 대표의 '책임있는 행동'이 도리어 당의 와해를 부를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크게 설득력이 있지는 않아보인다.

두 번째는 왕 사무부총장과 김수민 의원이 함께 연루된 것으로 밝혀질 경우다. 왕 사무부총장에 현역 의원이 포함된 만큼 안 대표에게는 두 개의 선택지가 놓이게 된다. 안 대표는 예의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 '김 의원과 왕 부총장 출당조치' 등의 행동을 취하거나, 두 사람 뿐만이 아닌 두 사람의 상관 즉, 박선숙 의원에 대한 징계까지 '책임있는 행동'을 할 수도 있다.

비록 현역 의원이 추가됐지만 당시 실무자였던 두 사람의 일탈로 치부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당의 대표가 사과와 두 사람의 중징계, 실무자의 상위 관리자인 박선숙 의원에 대한 징계 정도로 사건을 정리한다는 시나리오다.

지난 13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각 상임위원장에 대한 표결이 진행되는 동안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 옆으로 리베이트 의혹 사건으로 선관위로부터 고발당한 박선숙 의원이 지나치고 있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세 번째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고발한 박선숙·김수민 의원, 왕주현 사무부총장이 모두 연루된 경우다. 이는 당이나 안 대표 측이 가장 우려하는 시나리오로 이 경우 안 대표와 국민의당은 선택지가 없다.

이 경우 잠정적으로 2017년 대선을 바라보는 안 대표의 행보는 사실상 '올스톱' 수순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견해다. 박 의원이 안 대표의 최측근이었던 것은 물론, 이 사건을 계기로 불거진 '김수민 의원 공천 의혹'까지 안 대표가 도의적 책임을 지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정치권은 안 대표가 최악의 경우인 '당 대표 사퇴'까지 심각하게 고려해야한다고 말한다. 안그래도 당 '리베이트 의혹'으로 여론조사 결과가 연일 최저점을 갱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최측근 2명과 자신이 사실상 추천하다시피한 비례대표 의원 등 총 3명의 문제를 책임질 수 있는 카드가 '사퇴'말곤 없다는 주장이다.

당내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은 조금씩 감지되고 있다. 특히 이런 움직임이 단순한 '권력투쟁'의 일환이라기보다는 지지율 급락으로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지역구 사정에 견디다못한 의원들의 푸념이라는 점이 심상찮다. 호남 출신 A의원은 "안 대표가 '책임'지지 않으면 당이 살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호남 출신 의원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당에서 이해할 수 없는 활동이 있었지만 아직은 참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안 대표의 호남붐(boom)을 등에 업고 선거를 치렀던 이들조차 시나브로 말이 나온다는 것은 안 대표의 리더십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다. 정치권 관계자들은 안 대표가 이 부분을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당의 와해에 이를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호남 출신인 B의원은 취재를 위해 당 내부 돌아가는 상황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사태가 이 지경인데도 아직도 뭐가 어떻게 굴러가는지 모르겠다"고 한숨쉬듯 말하고 입을 닫았다. 여전히 당내 소통이 안 되고 있다는 탄식이다. 시간은 계속 흐르고 있고 안 대표의 '선택할 수 있는' 시간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전형민 기자 (verdan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전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