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D기획┃공연예술통합전산망 1년①] 8년 만에 이룬 공연계 숙원


입력 2020.06.18 20:07 수정 2020.06.18 20:07        이한철 기자 (qurk@dailian.co.kr)

2018년 공연법 개정, 2019년 6월 25일 시행

정확한 매출·예매 정보 확인, 공연 발전 기여

공연예술통합전산망 홈페이지 캡처.

객석 점유율 98%, 전 회차 전석 매진, 예매 순위 1위….


공연 포스터나 온라인 공연예매 사이트 공연 소개란에 자주 등장하는 문구다. 하지만 이를 곧이곧대로 믿을 수도, 이를 검증할 수도 없었던 게 한국 공연계의 현실이었다. 그만큼 제대로 된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이하 통합전산망) 구축은 공연계의 숙원이었다.


지난해 6월 25일은 그 숙원이 이루어진 날이자, 공연계가 크게 진일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날이기도 하다. 2018년 12월 개정된 공연법이 시행되면서 통합전산망이 마침내 정상 궤도에 올라섰기 때문이다.


달라진 공연법은 모든 공연단체와 기획·제작사, 티켓 예매처, 공연장 등이 공연 관련 정보를 의무 제출하도록 명문화했다.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와 공연계가 나서 시스템 구축한 지 무려 6년 만에 완성된 형태의 통합전산망이 만들어진 것이다.


통합전산망은 2013년 외형적인 틀을 갖추긴 했지만, 정보제공이 의무화되지 않아 예매처 및 제작사의 참여가 제한적이었다. 인터파크 등 주요 예매처 6곳과 데이터 전송 연계 체제를 완성한 2017년에도 데이터 수집율이 38% 수준에 불과했으니, 통계의 신뢰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공연계에서도 통합전산망을 활용하는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만큼 2018년 공연법 개정은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될 만하다.


통합전산망 구축이 이토록 오랜 시간이 걸린 건 티켓 예매처와 제작사 간의 보이지 않는 알력, 그리고 공연 장르에 따라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었기 때문이다.


겉으론 통합전산망의 필요성을 역설했지만, 속내는 달랐다. 특히 제작사는 직접 판매하는 단체관람, 기업관람 티켓판매 정보를 제공하기를 꺼렸다. 그러면서도 인터파크 등 주요 티켓예매처가 공개하는 예매순위 등에는 불만을 나타냈다. 무엇보다 작품에 대한 투명한 자료는 곧 투자 유치를 좌우할 수 있는 만큼,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티켓예매처에 대해서도 티켓 예매 정보를 독점하려 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일부 공연제작사는 "인터파크가 통합전산망 구축을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인터파크 측은 "정보제공은 법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에 제작사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고 해명했지만, 불신의 벽은 높았다.


이 모든 갈등이 공연법 개정으로 일단락된 셈이다. 이제 공연계는 통합전산망을 어떻게 발전시켜나가느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공연계에서는 통합전산망이 제작비나 매출을 축소 또는 과장하는 행위를 막을 수 있게 됐다는 점을 가장 큰 효과로 꼽는다. 이를 통해 투자자의 판단에 도움을 주고, 결과적으로 공연 업계를 더 건강하게 할 거란 믿음이다.


제작사 입장에서도 정확한 데이터를 토대로 공연 제작비와 공연 기간, 공연 마케팅 전략 등을 세울 수 있게 됐다.


한 공연 관계자는 "통합전산망은 투자자와 제작자, 그리고 관객 모두에게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며 "아직 걸음마 단계이긴 하지만, 공연계에서 가장 신뢰할 만한 지표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한철 기자 (qur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한철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