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여당 자양분 된 '제1야당' 국민의힘
동정 여론조차 기대할 수 없는 현실
尹 끊지 못하는 한 웃는 건 집권세력뿐
정부·여당의 웃음소리가 연일 터져 나온다. 국민의 박수 때문일 리 없다. 제1야당 국민의힘의 '자충수' 덕분이다.
최근 정부·여당의 행보만 보더라도 칭찬할 구석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재명 정부는 내각 인선에서 도덕성 논란이 불거진 인사를 강행하려 했고, 광복절 특별사면에서는 자녀 입시 비리로 수감됐던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횡령으로 유죄를 받은 윤미향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풀어줬다. 여기에 집권 여당은 경제계가 우려하는 '노란봉투법' 같은 쟁점 법안을 일사천리로 밀어붙이려고 한다.
그럼에도 제1야당이 꺼낼 수 있는 카드는 없다. 국민의힘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곤 법안 강행을 막겠다며 필리버스터에 나서거나, 고작 손바닥만 한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는 것 뿐이다.
이렇게 무기력한 모습이라면 동정 여론이 일 법도 하다. 상식적인 정치 국면이었다면 정부·여당은 거센 비판의 화살을 피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국민의힘은 그조차 얻지 못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절연조차 하지 못한 채 스스로 구렁텅이에 빠져드는 꼴을 국민이 더 차갑게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3일 불법 비상계엄으로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끌어안은 국민의힘은 이미 '내란당'으로 찍혔다. 그러니 야당의 존재가 지워진 무주공산에서 정부·여당이 눈치 볼 이유는 없었다. 국민의힘이 자살골을 연발하니, 국민은 싸늘하게 돌아섰고 정부·여당은 그 무능을 호가호위의 자양분으로 삼았다.
윤 전 대통령이 구속된 지 40일이 지났지만 당 내에서는 여전히 "대통령을 지키지 못했다"는 울음소리만 가득하다. 반성은커녕 책임지는 사람은 없고, 혁신을 말하는 당대표 후보들은 '배신자'로 몰리며 오히려 당의 골칫거리가 됐다.
8·22 전당대회 역시 희망을 주지 못하고 있다. 자격도 없는 한낱 일반인 전한길 씨가 후보들을 향해 야유를 퍼붓고 전대를 농락해도, 당은 '경고' 한마디로 넘어간다. 이쯤 되니 보수 지지자들조차 등을 돌린다. 국민의힘은 더 이상 든든한 제1야당이 아니라, 정부·여당에 선물 보따리를 떠안기는 한심한 '복(福)덩어리'로 전락했다.
국민의힘이 다시 설 길은 단순하다. 애써 외면하는 그 '근본적 문제'를 정리하는 것이다. 언제까지 '윤석열'이라는 족쇄를 끌어안고 스스로를 소모할 것인가. 발목을 풀지 않는 한 정부·여당의 웃음은 앞으로도 멈추지 않을 것이다.
0
1
기사 공유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