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朴·李 사면론'에 두동강 난 민주당…'친문강경파'에 속앓이


입력 2021.01.03 06:00 수정 2021.01.03 12:15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이낙연, 3일 긴급최고위 소집해 사면설득 예고

"국민통합 위한 용단"…지지율 회복 노림수도

친문 강경파는 반대, '사퇴하라'며 강력반발도

민심수습책들 번번이 강성지지층에 의해 발목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건강포털구축 온라인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박근혜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면 추진에 대한 당내 강경파의 반발이 거세다. 단순히 반대의견을 표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 대표의 자진사퇴 요구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내놓은 민심수습책이 핵심 지지층에 의해 발목을 잡히고 있는 셈이다.


실제 민주당 당원게시판과 친문그룹 SNS를 중심으로 이 대표에 대한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당대표가 미친 게 아니냐" "문재인 대통령을 배신한 것" "대통령병에 걸렸다" "윤석열에 꼬투리를 잡힌 게 아니냐"는 등 격한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 지도부 인사를 상대로 '적극적으로 반대의사를 개진하자'며 이른바 문자폭탄을 종용하는 당원들도 적지 않았다.


이 대표 측은 당원들의 강경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일단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에 따르면, 이 대표는 오는 3일 긴급 최고위원회를 소집해 의견수렴과 설득에 나선다.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국민통합을 위한 결단"이라며 설득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취지로 말했다. 김한정 의원은 "논란과 반대가 있을 것이지만 잘한 판단"이라며 찬성의견을 냈다.


하지만 강경파 의원들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지도부가 어떤 결론을 내릴지 미지수다. 정청래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탄핵촛불을 들었던 국민들은 용서할 마음도 준비도 돼 있지 않고 그럴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다"고 했고, 안민석 의원도 "촛불시민들에 대한 배신"이라고 주장했다. 지도부의 김종민 최고위원이나 양향자 최고위원 역시 두 명의 전직 대통령 사면에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된다.


우여곡절 끝에 당 지도부가 사면을 건의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으더라도 여진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가 사실상 실패한 뒤 당내 여론이 갈라진 게 대표적인 사례다. 더 이상의 민심악화를 피하기 위에 이 대표 등 지도부는 '제도적 개혁'으로 방향을 선회했지만, 강성 지지층은 여전히 '탄핵'을 촉구하고 있다. 김두관 의원 등 일부 인사들이 이 같은 여론에 편승해 탄핵 공론화를 거듭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을 사실상 경질한 것에 대해서도 반발이 여전하다. 윤 총장과의 갈등과 동부구치소 코로나 확진자 대량발생 등으로 성난 민심을 달래기 위한 판단이었지만, 강경파들은 여전히 추 장관이 옳았다고 주장하며 민심과 괴리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다. 지난달 31일 정부가 2021년 상반기 의사국시를 시행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강성 친문 지지층에서 반발이 거세다. 지난해 시험을 거부했던 의대생들을 사실상 '구제'하는 방안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민주당 의원들을 상대로 "지지를 철회하겠다"며 압박하는 지지자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같은 현상은 민주당이 자초한 측면이 크다는 지적이다. 합리적 토론과 이해관계 조정 대신 지지자를 결집해 '적폐청산'과 '국민들의 요구'라는 명분으로 갈등사안을 돌파해왔던 것이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것이다.


여론조사 기관의 한 관계자는 "지지율이 높을 때에는 현안을 단순화하고 여론의 힘을 바탕으로 밀고 나갈 수 있겠지만, 추후 방향을 선회하거나 후퇴하기 어려운 맹점도 있다"며 "정치적 쟁점 외에 부동산 등 각종 현안에서도 민주당은 '기득권 척결'을 내세워 당내 강경여론을 이용해왔는데, 이제와서 다른 이야기가 나오니 지지층에서 반발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말했다.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정계성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