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정부 "성수품 가격 강세에 설 밥상물가 큰 부담…시장교란행위 단호 대처"


입력 2021.02.05 13:48 수정 2021.02.05 13:48        유준상 기자 (lostem_bass@daum.net)

김용범 차관, 설 성수품 가격안정 민관합동 회의 주재

설 전 계란 2000만개 등 이달말까지 4400만개 수입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1월 15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 뉴딜 점검 TF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계란 등 주요 성수품 가격 강세가 지속되자 수급 안정을 위해 공급을 늘리고, 시장교란 행위에서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5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계란 등 설 성수품 가격 안정 민관합동 협의체 회의'에서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조류인플루엔자(AI) 등의 영향으로 계란 등 주요 성수품 가격 강세가 지속되면서 설 명절을 앞 둔 밥상물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최근에는 농산물 가격상승에 따른 물가 부담을 '애그플레이션(agflation)' 대신 '에그플레이션(eggflation)'으로 바꿔 부를 만큼 계란 가격 상승은 우리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최근 AI 확산세가 다소 둔화되고, 수입계란의 국내 유통이 시작됐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은 상황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계란 수급 안정을 위해 설 명절전인 이달 10일까지 계란 약 2000만개를 수입하고, 설 이후에도 2월말까지 약 2400만개를 추가 수입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AI 확산세 등으로 수급여건이 악화되는 경우 계란의 추가 수입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해외에서 수입된 계란이 국내 소비자들의 식탁에 부담 없는 가격으로 신선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설 민생안정대책에 따라 사과와 배 등 다른 성수품 공급도 평년대비 2배 수준으로 확대하고, 유통질서 교란행위에 대한 대응도 강화한다.


김 차관은 "설 성수품 등의 원활한 유통을 저해하는 시장교란적 행위에서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하겠다"며 "매점매석 금지 고시, 긴급수급조정조치 등 물가안정법상 규정된 가격 및 수급안정 조치들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했다.

유준상 기자 (lostem_bass@daum.net)
기사 모아 보기 >
0
0
유준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