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지 주변 자연환경 만족도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시’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3.11.27 12:01  수정 2023.11.27 12:01

환경부·국립생태원 성인 8400명 대상 조사

세종호수공원 모습. ⓒ데일리안 독자 제공

거주지 주변 자연환경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세종특별자치시가 뽑혔다. 조사 대상 응답자 74.3%가 거주지 주변 자연환경에 대해 ‘만족’ 또는 ‘매우 만족’한다고 답했다 .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에 거주하는 성인 8400여 명을 대상으로 ‘2023년 생태계 서비스 대국민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를 27일 공개했다.


생태계 서비스(Ecosystem Services)는 자연 생태계가 인간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말한다. 공급(식량, 목재)부터 조절(온실가스 조절, 대기·수질 정화), 문화(여가, 휴양), 지지(생물 서식처 제공 등) 서비스로 구분한다.


조사 결과, 17개 광역지자체 가운데 거주지 주변 자연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은 세종시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세종시 응답자 74.3%가 만족(55.7%) 또는 매우 만족(18.6%)한다고 답했다.


세종시는 1인당 공원 면적(57.6㎡)이 광역지자체 중에서 가장 넓다. 세종호수공원과 국립세종수목원, 금강수변공원 등 거주지 인근에 접근성이 좋은 공원이 다수 존재한다.


세종 다음으로는 제주(61.8%)와 강원(60.9%), 전남(59.3%)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가장 낮은 곳은 인천광역시로 40%에 그쳤다.


생태계 서비스에 대해서는 응답자 68.3%가 용어를 들어봤거나 알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해 조사결과인 63.2%보다 5.1%p가 증가한 수치다.


생태계서비스의 4가지 기능(공급, 조절, 문화, 지지)에서는 조절 서비스를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환경부는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여가와 휴양을 누리는 ‘문화’ 서비스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조절’ 서비스가 더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거주 지역이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로부터 안전한지에 대한 물음에서는 78.6%가 보통 또는 안전하다고 답했다.


자연환경 유형 질문에서는 ‘공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산이나 바다와 달리 가까이 있어 일상에서 자주 방문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자연환경 방문 빈도는 월 2~3회가 31.4%로 가장 많았다. 월 1회 이하 28.8%, 주 1~2회 25.4% 순으로 나타났다.


주변 자연환경 만족도가 가장 높은 세종시는 주 1회 이상 자연환경을 방문한다는 응답 비율(45.7%)도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이 설문 조사기관에 의뢰해 지난 5월11일부터 5월 30일까지 진행했다.


안세창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생태계 서비스는 국민들의 삶의 만족도와 직결한다”며 “접근성이 좋은 도시공원의 조성, 훼손지 복원, 국가 보호지역 지정확대 등 생태계 서비스를 지속해서 확대하는 국가 정책과 목표를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