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52명으로 작년 연간 수치 넘어…모두 해외유입 관련 사례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하면서, '홍역 퇴치국가'인 우리나라에서도 올해 홍역 환자 수가 2019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아졌다.
4일 질병관리청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일까지 신고된 홍역 환자는 모두 52명이다. 지난해 1년 전체 동안 발생한 환자 49명보다도 많은 것으로, 2019년(연간 194명) 이후 6년 만에 최다다.
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인증한 홍역 퇴치 국가다. 2001∼2002년 홍역 대유행 시기 5만5000여 명의 환자가 나왔다가 정부의 집중적인 퇴치사업으로 환자가 급감하며 2006년 홍역 퇴치 선언을 했다.
이어 WHO가 강화한 인증 기준에 따라 2014년 홍역 퇴치국 인증을 받아 현재까지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소규모 환자 발생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홍역 퇴치국 지위가 유지되는 것은 국내 환자 대부분이 해외 유입 사례이기 때문이다.
올해 환자 52명 중에서도 34명이 해외에서 감염돼 들어온 경우고, 나머지 18명은 이들 해외유입 환자를 통해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전파된 경우다. 해외유입 대다수가 베트남발 감염이다.
홍역과 함께 '후진국형 감염병'으로 여겨지는 결핵도 여전히 국내에서 환자가 나온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결핵 환자는 1만7944명이었다. 2011년 5만491명에서 13년 연속 감소세긴 하지만 여전히 만 명대의 환자가 기록되고 있어 2030년 퇴치 목표 달성이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
위생 상태가 열악했던 시절 유행했지만 이제는 거의 잊힌 ‘옴’도 여전히 해마다 수만 명을 괴롭히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1∼8월 3만1773명이 진료를 받았다.
홍역이나 결핵, 옴이 완전히 퇴치되지 않고 오히려 일부 늘어나기도 하는 데엔 우선 해외여행이나 교류가 늘어난 영향도 있다.
홍역의 경우 최근 백신 접종률이 낮아진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유행해 후진국형 감염병이란 말이 무색해진 상황이라 발병국 방문을 통한 산발적인 감염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결핵 환자 중에서도 외국인 비중이 꾸준히 늘어 6%를 차지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