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에 돈이 투입되면 소비 촉진
예시인데 단어 하나로 비아냥거려"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커피 원가 120원' '호텔경제론'를 향한 국민의힘의 공세에 "단어 하나로 말꼬리를 잡고 시비를 거는 형태의 논쟁"이라며 유감을 표했다.
조승래 중앙선대위 수석대변인은 21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브리핑 후 취재진을 만나 "작은 돈의 흐름에 따라서 시장에 돈이 투입되면서 시장 순환이 활발해지고 소비를 촉진하고 하면서 소비자들 후생에 어떻게 기여할 것이냐, 이런 측면의 예시나 논리"라며 "이에 대해 단어 하나로 비아냥거린다면 그 어떤 경제 정책을 논의할 있겠느냐"고 물었다.
그는 "단어 하나, 말꼬리로 하는 전형적 시비 정치"라고 재차 날을 세웠다. 조 수석대변인은 "본질 말고 엉뚱한 단어"라며 "소비진작·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토론하자"고 제안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이재명 후보의 경기도지사 재직 당시 계곡 정비와 관련해선 "어떻게 보면 현장행정의 모범 사례이자 모델"이라고도 강조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또 "처음에 '커피 원가 120원'을 공격했다는 SNS(소셜미디어) 계정이 사기 계정 아니냐"라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진위확인도 안한 상태에서 이 후보를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비판하려면 목적이 무엇인지, 수단이 정당한지 철저히 검증을 해야 할 것"이라며 "저열한 정치공세로 정책 논쟁의 품위를 떨어뜨리지 말라"고 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16일 전북 군산 유세에서 "5만원 받고 땀 뻘뻘 흘리며 한 시간 (닭을) 고아서 팔아봐야 3만원밖에 안 남지 않느냐. 그런데 커피 한 잔 팔면 8000원에서 1만원 받을 수 있는데 원가가 내가 알아보니까 120원"이라고 말해 논란을 낳았다. 또 다른 논란인 호텔경제론은 소비자가 호텔에 예약금 10만원을 내고, 숙박하지 않아 환불을 받더라도 예약금 10만원이 인근으로 순환돼 이른바 '승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한편 조 수석대변인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다큐멘터리 영화를 관람하며 대외 행보에 나선단 소식이 알려지자 "그것이 윤석열이 (국민의힘을 탈당하며) 말한 백의종군이냐"라는 반응을 보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