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최종전에 4만 1911명 관중 입장
월드컵 본선 진출 축하하는 축제의 장으로 펼쳐졌지만 서울서 또 매진 실패
홈에서 아쉬운 경기력, 축구협회 향한 여전한 불신도 영향 끼쳤다는 분석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행을 확정한 축구대표팀이 아쉬움 속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여정을 모두 마무리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축구 국가대표팀은 10일 오후 8시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쿠웨이트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B조 최종 10차전 홈경기를 치렀다.
한국은 이미 지난 6일 이라크와 원정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며 쿠웨이트전 경기 결과와 상관 없이 북중미 월드컵 본선행을 확정했다.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은 ‘세계 6위’에 해당하는 대기록이다.
전 대회에 출전한 브라질(22회)을 비롯해 독일(18회), 아르헨티나, 이탈리아(이상 14회), 스페인(12회)에 이어 한국이 6번째다.
비록 참가국 확대로 인해 예전보다 월드컵 본선 진출이 수월해 진 것은 사실이나 모든지 당연한 것은 없다.
이에 대한축구협회도 쿠웨이트와의 최종전을 본선 진출을 축하하는 축제의 장으로 운영했다.
이날 국가대표팀 응원단 붉은악마는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업적을 달성한 위대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라는 의미를 담아 'WE 대한'이라는 문구의 카드섹션을 준비해 관중들과 함께 호흡하며 홍명보호를 응원했다.
카드섹션 외에도 붉은악마가 주도하는 전 관중 응원 퍼포먼스가 펼쳐졌다. 또 경기 이후에는 피치 위에서 월드컵 본선 진출 축하 행사가 진행됐다.
주장 손흥민을 필두로 대표팀 선수들은 그라운드로 재입장해 월드컵 본선 진출 소감을 전했고, 이후 경기장을 돌며 관중들과 소통했다.
다만 대표팀은 만원 관중의 온전한 기운을 받지는 못했다. 이날 경기가 열린 서울월드컵경기장에는 4만 1911명의 관중이 들어왔다. 약 6만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한국 축구 성지에 생각보다 적은 관중이 입장했다.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북중미 월드컵 2차 예선 당시 싱가포르, 태국, 중국과의 맞대결에서 만원 관중을 불러모았는데 정작 중요한 3차 예선에서는 지난해 9월 열린 팔레스타인전에서 매진에 실패하더니 이번에는 당시 5만9579명보다 훨씬 더 적은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저조한 예매율은 주장 손흥민(토트넘)의 부상에 따른 결장 가능성과 핵심 수비수 김민재(바이에른 뮌헨)의 소집 제외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이날 쿠웨이트를 상대하기 전까지 4번의 홈경기에서 단 1승 밖에 거두지 못한 아쉬운 경기력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지난해부터 이어진 홍명보 감독 선임 과정의 불투명 논란 등으로 정몽규 회장 등 대한축구협회를 향한 여전한 불신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대표팀의 다음 홈경기는 10월 A매치 기간이 유력하다. 9월 북중미 원정서 마주하는 미국과 멕시코 상대로 결과가 상당히 중요해졌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