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스탑 메이킹 센스’ (쏙) Talking Heads ‘Psycho Killer’
지난주에 소개한 ‘죠스’ 어땠어? 여름밤 납량특집 하면 동물 호러도 있지만 연쇄 살인범에 관한 스릴러도 빼놓을 수 없어. ‘다머’에 대해 알고 있어? 제프리 다머. 미국의 수많은 살인마 가운데서도 악질 중에 악질. 1970, 80년대 미국을 공포로 몰아넣은 인물이지.
넷플릭스에서 그의 행각을 다룬 ‘다머’라는 시리즈도 2022년 나왔지.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의 소재가 됐어. 심지어 팝송에서도 다머가 등장해. 싱어송라이터 피비 프리저스의 ‘Killer’라는 노래에 보면 이런 구절이 나와.
‘가끔은 내가 살인자가 아닐까 생각해/너의 집에서 널 무섭게 했지/나 스스로도 소스라쳤지/네 소파에서 다머 이야기를 꺼낼 때’
왠지 헤어지자고 말할 것 같은 남자친구에게 집착하는 자신의 모습을 제프리 다머에 비유한, 소름 끼치게 슬픈 노래지.
제프리 다머는 아니지만 다른 연쇄 살인마와 본의 아니게 연결된 노래도 있어. 바로 오늘 소개하려는 미국 그룹 토킹 헤즈의 대표곡 ‘Psycho Killer’(1977년)지. 으스스한 가사에 어떤 이름이 나오지는 않지만 어떤 사람들은 1976년부터 1977년까지 끔찍한 살인 행각을 벌인 데이비드 버코위츠(일명 ‘샘의 아들’)가 떠오른다며 몸서리를 치기도 했어.
사실 오늘 하려는 이야기는 살인이나 범죄와는 거리가 멀어. 미국의 어떤 기막힌 밴드와 그 프런트맨, 그리고 그들의 기막힌 공연과 그 공연을 담은 콘서트 실황 영화에 대해 말하려고 하거든.
세계 콘서트 필름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길이길이 빛나는 명작 ‘스탑 메이킹 센스’(1984년) 말이야. 이 영화가 나왔을 때는 한국에 소개될 기회가 없었어. 토킹 헤즈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밴드가 아니었고 콘서트 필름이란 장르 자체도 그랬지. 나도 몇 년 전, 음악 교육자이나 음악가인 정원영 씨의 추천으로 뒤늦게 미국 아마존에 주문해 산 블루레이로 보고선 충격에 빠졌지. 한국에서 볼 방법이 영 없었는데. 다음 달이지. 마침 8월 13일에 국내 최초로 극장 개봉을 한다고 해. 최근 시사회에 가서 4K 초고화질로 리마스터된 ‘스탑 메이킹 센스’를 미리 봤어. 집에서 블루레이로 볼 때와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감동과 전율을 느끼고 왔어.
이 콘서트 필름의 첫 곡이자 첫 장면이 바로 토킹 헤즈의 리더인 데이비드 번이 혼자 나와서 격렬하게 기타를 치며 부르는 ‘Psycho Killer’야. 그러고 보니 이 영화의 감독이 또 연쇄 살인자와 관련이 있어. 한니발 렉터 말이야. ‘양들의 침묵’을 연출한 조너선 드미가 이 작품, ‘스탑 메이킹 센스’를 연출했거든. 1983년 12월 13일부터 16일까지 4일 동안 미국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의 팬터지스 시어터에서 연 토킹 헤즈의 연속 공연 내용을 촬영하고 편집한 결과물이지.
이 영화는 정말이지 허점을 찾기 힘들어. 무대 안팎을 여기저기서 추적하고 클로즈업하면서 놀라운 타이밍의 조명 연출과 함께 보여주는 카메라는 콘서트 필름이 아니라 마치 스릴러 영화를 보는 듯한 긴장감을 선사해.
데이비드 번과 밴드 멤버들의 기막힌 연주력과 기이한 무대 매너, 토킹 헤즈의 시적이면서도 신랄하고 충격적인 가사와 신선한 악곡을 보고 듣다 보면 한 곡, 한 곡이 끝날 때마다 콘서트장도 아닌데 박수를 치고 싶어지지.
데이비드 번이 자기 덩치보다 훨씬 큰 정장을 입고 나와서는 동그란 눈을 하고 해파리처럼 춤출 때는 연쇄 살인 영화를 능가하는 광기마저 느껴질 정도야.
요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인기지. 여기에 ‘팝 데몬 헌터스’가 있어. ‘스탑 메이킹 센스’정도면 악령도 멱살 잡을 듯한 음악, 퍼포먼스, 연출이라는 얘기야. 스토리가 없는 공연 실황만으로도 ‘보헤미안 랩소디’ 이상의 집중력을 선사하는 작품이니까. 오죽하면 발표된 지 40년이 넘은 지금, 수많은 첨단 기술이 음악과 영상의 패러다임을 바꾼 현재까지도 콘서트 필름계의 기념비로 우뚝 서 있겠어.
영화 제목은 콘서트에서도 연주된 토킹 헤즈의 곡 ‘Girlfriend is Better’의 가사 일부야. ‘stop making sense’. 말 되는 소리 좀 그만 하라니, 이 영화의 미학과 정말 찰떡인 제목이지 뭐야.
극장에서 내려가기 전에 가능하면 한 번 더 볼 생각이야. 이제껏 데이비드 보위만 알았다면 이제 데이비드 번도 같이 만나보자고. 장기하와 얼굴들의 뿌리가 송창식, 산울림, 송골매, 함중아 밖에도 있었어. ‘신 스틸러’를 넘은 공연 실황의 연쇄 살인마, ‘신 킬러’를 만나볼 시간이라고.
임희윤 음악평론가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