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골프협회(KPGA) 노동조합이 부당하게 해고된 직원들이 복직할 때까지 투쟁을 이어갈 뜻을 밝혔다.
KPGA 노조는 19일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서비스일반노조 회의실에서 최근 해고된 직원 3명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해고 사유와 실제 경위에 대해 설명했다.
노조 측은 “대회 유치에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그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하며 해고부터 단행했다”며 이번 사태를 경영책임 은폐이자 고위임원 A씨의 가혹행위 사건 공론화에 대한 보복성 징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위임원 A씨는 지난해 말 직장 내 괴롭힘 논란의 중심에 섰고 지난달 KPGA로부터 해임 조치 됐다.
해고된 직원들도 이날 기자회견서 목소리를 높였다.
해고자 L씨의 경우 지난해 투어챔피언십 우승자의 골프장 시즌권 시상 누락을 사유로 해고 됐다. 이에 L씨는 “해당 시상 부문은 대회 현장에서 협회장에게 두 차례 대면 보고 후 최종 승인된 사안이었다”고 반박했다.
시상 항목을 삭제하라는 결정은 회장 지시에 따른 것이었으며, 당시 보고 자리에는 다른 직원도 함께 있었으나 협회장은 이제 와서 “보고받은 적이 없다”며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는 것.
또한 고위임원 A씨와 친분이 있던 모 후원사의 대표자가 피해 직원들에게 합의를 제안했으나 이뤄지지 않았고, 자사의 방송광고 누락을 문제 삼은 공문을 협회 보냈다. 이 사안은 중간관리자였던 L씨의 해고 사유가 됐다.
해고자 N씨는 병가 복귀 선수에게 규정을 구두로 잘못 안내했고, 상부에 보고를 누락했다는 사유로 해고됐다. 협회는 이를 ‘보고 은닉’이라 밝혔다. N씨는 당시 잘못된 내용을 바로잡아 고위임원 A씨의 결재까지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사건이 불거지자 오히려 은폐한 것으로 몰려 해고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고위임원 A씨는 해당 사건이 불거지자 오히려 시말서 내용의 수정까지 지시하며 ‘승인 받은 내부 기안 내용은 삭제하라’는 요구까지 했다는 게 노조 측 주장이다.
세 번째 해고자 J씨의 경우, 협회에 금전적 손실을 입혔다는 게 해고의 이유였다. 협회는 △직원 생일자 쿠폰 지급 지연 △세금 신고 · 납부 지연 △KPGA빌딩 입주사 임대료 미납에 대한 금전적 손실 △협회장 해외출장 비용 집행 지체 등을 이유로 해고했다. 그러나 구조적 인력 공백과 상부의 결재 지연, 그리고 고위임원 A씨의 폭언과 강압적인 요구 속에서 발생한 일들이라 개인 과실로만 볼 수 없다는 게 노조의 설명이다.
특히 협회장의 해외출장 비용 집행 지체와 관련해 자세한 설명이 이어졌다. 당시 해외 출장 비용은 김원섭 회장의 파리 올림픽 출장 예산으로 책정됐으나 영국 일정이 추가되며 3배가 늘었고 담당자인 J씨가 비용을 신속히 집행 할 수 없었던 것. 이후 협회장은 J씨를 회장실로 불러 비용 집행이 지연되었다며 거칠게 윽박질렀고, 닫힌 문 밖에서도 사무국 직원들이 들을 만큼 고성이 오갔다고 주장했다.
KPGA노조는 이번 해고가 단순한 경영상 판단이 아닌 가혹행위 고위임원의 논리를 그대로 답습한 보복성 조치라고 지적했다. 이에 노조는 “부당하게 해고된 직원들이 복직할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KPGA는 이달 초 김원섭 회장의 명의로 “근거 없는 선동과 규정 위반, 내부정보 유출 시도에 결코 굴하지 않겠다”며 “외부 압력과 허위 주장에 강력히 대응하며, 투명하고 공정한 KPGA를 위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라고 입장문을 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