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문턱을 낮추는, ‘과정공유’의 매력 [과정공유, 미완의 미학①]

박정선 기자 (composerjs@dailian.co.kr)

입력 2025.09.13 09:08  수정 2025.09.13 09:08

'함께 키워나가는' 경험 갈망...달라진 팬덤 문화

"작품 중심으로 커뮤니티 형성...창작 생태계 새 가능성"

TV 오디션 프로그램 속, 잠재력 가득한 연습생이 시청자의 투표를 통해 아이돌 그룹으로 데뷔한다. 팬들은 스스로 ‘국민 프로듀서’가 되어 연습생의 시작부터 성장의 모든 서사를 공유하고, 자신의 응원이 성공의 발판이 되는 ‘육성’의 경험에 열광한다. 연습생을 ‘함께 키워나가는’ 이 육성의 쾌감이 바로, 현재의 팬덤 문화의 핵심 동력이다.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최근 공연계에 불고 있는 ‘과정공유’의 중심에도 이러한 ‘함께 키워나가는’ 경험에 대한 갈망이 자리한다. 완성된 무대를 수동적으로 소비하던 것에서 벗어나, 작품의 첫 아이디어가 무대 위에서 구체화하는 과정을 지켜보고, 때로는 직접 의견을 더하며 작품의 성장에 동참하는 새로운 관람 문화가 주목받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미완성작을 미리 선보이는 것을 넘어, 창작자와 관객이 새로운 관계를 맺는 흥미로운 현상이다.


물론 창작 과정을 관객과 나누는 시도가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오래전부터 공연계에는 ‘낭독공연(리딩공연)’이나 ‘리딩 쇼케이스’라는 형식이 존재했다. 이는 무대장치나 배우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대본을 낭독하는 것만으로 작품의 골격을 선보이는 방식이다.


주로 본 공연에 앞서 희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관객의 반응을 살피거나 투자자를 유치할 목적으로 진행된다. 이때 대다수 관객은 전문가나 공연 관계자들로 구성되거나, 일종의 ‘테스트 집단’ 역할을 하는 일반 관객들이다. 작품의 장단점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지만, 관계는 다소 일방적이고 제한적이다.


한 공연 관계자는 “낭독공연, 리딩쇼케이스 대부분은 공연 이후 관객들에게 설문 형식으로 의견을 취합해 그중 (작품에) 반영할 만할 것들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또 일부 공연을 마친 후 관객과의 대화를 통해 작품에 대해 관객과 제작진이 대화를 나누고 작품에 관해 설명하는 일종의 GV 형식을 취하기도 하는데, 그 과정을 통해 드물지만 일정 부분 창작진이 영감을 얻기도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의 ‘과정공유’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대표적인 사례로, 최근 주목받은 이준우 연출의 ‘문 속의 문’이 있다. 그는 이 작품을 ‘과정공유작’으로 명명하며 “완성형이 아닌, 커가는 공연”이라고 소개했다. 이는 관객을 단순히 피드백 제공자로 한정하지 않고, 작품이 성장하는 과정을 함께 지켜보는 ‘동반자’로 인식하는 전환을 보여준다. 관객은 여러 차례 진행되는 개발 과정에 참여하며 작품의 변화를 목격하고, 그 존재만으로 창작 과정에 영감과 지지를 보내는 중요한 존재로 확장된다.


이러한 창작 생태계의 변화 뒤에는 창작의 ‘과정’ 자체를 지원하려는 공공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원회)는 결과 중심의 지원사업에서 벗어나, 창작의 씨앗을 틔우는 과정을 돕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예술위원회 극장운영팀 심정훈 대리는 “예술위원회는 결과 중심의 지원 체계와 차별화된 사업으로 2017년부터 ‘창작실험활동지원’을 운영했다. 이는 창작 아이디어를 리서치, 연구, 협업 등 다양한 실험을 통해 구현하는 ‘과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쇼케이스 등을 통해 그 결과를 공유했다. 당초 ‘과정과 공유’로 시작해 2023년 ‘창작의 과정’으로 이어진 이 사업은 예술단체가 여러 시도를 통해 공연 기획을 탄탄히 하고 실제 제작의 기반이 되는 토양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록 2025년 정책 기조의 변화로 사업이 각 지역 재단으로 분화되었지만, 예술위원회는 청년 및 예비예술인 지원 등을 통해 창작 토대를 마련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과정 중심 지원의 성과는 뚜렷했다. 한 예로, 모든컴퍼니의 무용극 ‘On the Rock’(2023)은 클라이밍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움직임으로 풀어내는 과정을 지원받아 쇼케이스를 거친 뒤, 창작산실 ‘올해의 신작’으로 선정되며 본 공연까지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연극 ‘기존의 인형들:인형의 텍스트’(2025년 1월 공연)와 ‘해녀연심’(2026년 3월 발표 예정) 역시 각각 낭독공연과 쇼케이스를 통해 관객과 미리 만나고 작품을 발전시켜 ‘올해의 신작’으로 선정되는 결실을 보았다. 이는 과정에 대한 충실한 지원이 결국 완성도 높은 결과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사례들이다.


과정 공유의 가장 적극적이고 진화된 모델을 제시하는 사례는 국립극단의 ‘청소년극 창작벨트’다. 이 프로그램은 희곡이 완성된 후 의견을 듣는 것을 넘어, 작품의 구상 단계부터 청소년들이 직접 참여한다. 이들은 단순한 피드백 제공자나 동반자에 머무르지 않고 작가, 제작진과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공동 창작자’의 위치에 선다. 자신들의 경험과 언어가 희곡의 문장이 되고, 토론을 통해 만들어진 아이디어가 작품의 핵심 설정이 되는 과정을 직접 겪는 것이다.


한 공연 관계자는 “과거의 리딩 쇼케이스가 ‘이미 만들어진 상품’을 위한 시장 조사에 가까웠다면, 최근의 과정공유는 관객을 ‘작품의 첫 번째 동료’로 초대하는 과정”이라며 “이는 단순히 공연 하나를 올리는 것을 넘어, 작품을 중심으로 끈끈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관객에게는 깊은 애착을, 창작자에게는 지속적인 영감을 주는 새로운 창작 생태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그 의미를 짚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정선 기자 (composerj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