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26일부터 11월18일까지 개최…토마스 헤더윅 총감독
도심 곳곳에 '지붕 없는 미술관' 작품 전시 주목
친환경 대형 조형물과 24개 야외 조형물로 구성되는 '주제전' 진행
제5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2년여간의 준비를 끝내고 막을 올린다.
시는 제5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매력 도시, 사람을 위한 건축'을 주제로 오는 26일부터 11월18일까지 열린송현 녹지광장과 서울도시건축전시관에서 열린다고 22일 밝혔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세계 여러 도시가 함께 도시 문제 해법을 고민하고 사람을 위한 건축문화에 대해 교류하는 국내 최초 도시건축 분야 글로벌 행사다. 2017년 첫 개최 후 현재까지 약 538만명(온라인 포함)의 관람객이 찾았다.
올해는 영국 출신 디자이너 토마스 헤더윅(Thomas Heatherwick)이 총감독을 맡았다.
개막식은 26일 오후 6시30분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개최된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토마스 헤더윅 총감독을 비롯한 국내외 건축가, 각국 주한 외교 사절, 시민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어 27∼28일에는 '글로벌 개막포럼: 감성 도시'가 시청에서 열린다.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건축물 외관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랑받고 오래 지속될 수 있는 미래 도시건축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포럼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환영사와 헤더윅 총감독의 기조연설로 시작해, 유현준 홍익대 교수 사회로 건축가들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이 이어진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기간 도심 곳곳을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만들어줄 작품 전시도 주목할 만하다. 올해는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주제전부터 도시전, 서울전, 글로벌 스튜디오까지 네 가지 전시를 선보인다.
친환경 대형 조형물과 24개 야외 조형물로 구성되는 '주제전:보다 사람다운 도시건축'이 진행된다. 국내외 창작자와 서울시민으로 구성된 창작커뮤니티 9개팀이 참여한 휴머나이즈 월(Humanise Wall)과 일상의 벽(Walls of Public Life)을 전시한다.
가로 90m, 높이 16m인 친환경 대형 조형물 '휴머나이즈 월'은 38개국 110명 디자이너가 참여한 400여 건축물 이미지와 창작커뮤니티 9개팀 아이디어를 모은 1428장의 철판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서로 다른 생각과 아이디어를 모은 생동감 있는 작품을 통해 '사람 중심 도시건축'을 만들자는 메시지를 전한다.
일상의 벽은 건축가, 디자이너, 장인 등 24개팀이 24개 벽(각 2.4m×4.8m) 모양 조형물을 구현한 작품이다. 벽 사이를 자유롭게 걸으며 즐거움, 따뜻함, 호기심 등 건물 외관이 주는 다양한 감정을 체험할 수 있는 작품이다. 건물 외관이 단순 장식이 아니라 즐거움과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전:도시의 얼굴: 사람에게는 인간적인 건축이 필요하다(City's Face ; Human beings need Human buildings)'에서는 21개 도시(15개국) 건축프로젝트 25개 작품을 소개한다.
이 전시에는 켄고 쿠마&어소시에이츠, 네리&후, 헤르조그&드 뫼롱, 콕스 아키텍쳐, 브루더 등 세계적인 건축가가 참여한다.
서울전은 서울의 주요 건축물을 중심으로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도시의 변화상을 시민 눈높이에서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전시다. 서울의 18개 건축물과 도시풍경을 사람의 눈으로 포착한 파노라마 형식의 전시가 펼쳐진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전시 '글로벌 스튜디오'는 전 세계 시민들이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홈페이지에 공유한 사진을 하나 작품으로 만들어 '사람을 위한 매력 도시'를 보여준다.
시민참여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총감독이 진행하는 워크숍(9월29일)과 강연(30일)을 비롯해 해외 참여작가들의 강연과 큐레이터 토크가 이어진다.
이외에도 드로잉 테라피, 건축가와 함께 서울 주요 경관을 달리는 '아키런', 각국 건축물 그려보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제5회 서울비엔날레는 누구나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후 참여할 수 있다.
헤더윅 총감독은 "스트레스를 받고 외로움을 느끼는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를 하나로 모으고 소중하게 여겨지고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건물"이라며 "그러한 건축은 우리가 모두 목소리를 낼 때 시작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에서 시작된 변화의 움직임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더 크게 꿈꾸고, 더 나은 공간을 요구하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서울비엔날레는 시민의 시선과 참여로 서울을 더 매력적이고 살기 좋은 공간으로 만드는 축제"라며 "함께 걷고 바라보며 도시의 미래를 공유하는 시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