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로 금융앱 신분확인·과금납부 장애…금융사별 ‘대응센터’ 구축 요청

손지연 기자 (nidana@dailian.co.kr)

입력 2025.09.27 18:07  수정 2025.09.27 18:54

국정자원 화재로 신분확인·과금납부 서비스 차질

금융위·금감원, 합동 위기상황대응본부 가동

전 금융사에 ‘대응센터’ 구축 요청…대체 거래수단 안내 당부

금융위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전날(26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 관련 금융권 긴급 대응회의를 개최했다.ⓒ뉴시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금융 앱의 '신분 확인' 서비스 등에 장애가 발생해 금융당국이 긴급 대응회의를 개최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합동 ‘위기상황대응본부’를 꾸리는 한편 전 금융사에 안정화될 때까지 대응센터 마련을 요청했다.


금융위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전날(26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 관련 금융권 긴급 대응회의를 개최했다.


금융위는 이번 화재로 인한 전산장애로 ▲ 주민등록증 진위여부 확인 등 신분확인 절차 ▲ 인터넷 지로, 과금 납부 등 행정기관 연계 금융서비스 ▲우체국 연계 금융서비스 등에 장애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세부적인 금융서비스 장애 상황 및 조치방안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장애 복구 상황과 각 금융회사의 현장 확인 등을 거쳐 금융위·금감원·유관기관 및 전 금융권이 긴밀히 공조하여 적시에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전 업권 금융회사에 “이번 사고에 따른 금융서비스 장애로 국민들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금융서비스 장애 내용과 대체 거래수단를 안내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금융서비스 장애로 인해 고객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금융회사별로 대응 계획을 마련하고 사태가 안정화될 때까지 ‘대응센터’를 구축해 당국과 긴밀한 소통해 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26일 오후 8시 15분쯤 정부 전산시스템을 관리하는 국정자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 전산 시스템이 전면 마비됐다.


이에 모바일 신분증이나 주민등록증을 활용한 비대면 입출금계좌 개설, 인증서 발급 등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다. 다만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등 다른 신분 확인 수단은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금융위·금감원은 국정자원 화재사고 발생 즉시부터 합동 '위기상황대응본부'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국정자원 시스템 복구가 이뤄질 때까지 금융권 상황 등을 면밀히 예의주시하고, 필요시 즉각 대응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손지연 기자 (nidan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