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까지 태어난 이들을 지칭하는 X세대는 ‘절약’이 모토인 기존 세대와 달리 ‘소비’를 적극적으로 한 최초의 세대로 분석됩니다. 경제적 풍요 속에서 자라나면서 개성이 강한 이들은 ‘디지털 이주민’이라는 이름처럼 아날로그 시대에 성장해 디지털 시대에 적응한 세대이기도 하죠. 그만큼 수용할 수 있는 문화의 폭도 넓어 대중음악 시장의 다양성을 이끌었던 주역으로 꼽히는데, 이들이 향유했던 음악을 ‘가요톱10’의 90년대 자료를 바탕으로 Z세대에게 소개합니다. <편집자주>
◆‘가요톱10’ 1995년 10월 2주 : 박진영 ‘청혼가’
◆가수 박진영은,
1994년 데뷔 앨범 ‘블루 시티’(Blue City) 타이틀곡 ‘날 떠나지 마’로 가요계에 혜성처럼 등장해 이 앨범의 후속곡인 ‘너의 뒤에서’까지 인기를 얻으면서 가수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이후 ‘그녀는 예뻤다’ ‘허니’(Honey) ‘난 여자가 있는데’ ‘이 노래’ ‘청혼가’ ‘엘리베이터’ 등 연달아 히트곡을 내놓았다.
2000년대 초반에는 6년여의 공백을 가지며 프로듀서로서 최고의 전성기는 누렸다. JYP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한 그는 박지윤의 ‘성인식’, 지오디의 ‘거짓말’, 별의 ‘12월 32일’, 비의 ‘안녕이란 말대신’ ‘잇츠 레이닝’(It's raining), 원더걸스의 ‘텔 미’(Tell Me) ‘소 핫’(So Hot) ‘노바디’(Nobody) 등 국민적 히트곡을 내놓으며 프로듀싱 능력을 입증했다. 이때부터 현재까지 JYP 수장으로써 발굴하고, 육성한 아티스트만 지오디(god), 박지윤, 비, 원더걸스, 2AM, 2PM, 미쓰에이, 15&, 갓세븐(GOT7), 데이식스(DAY6), 트와이스, 있지, 스트레이키즈, 엔믹스, 엑스디너리 히어로즈, 니쥬(NIZIU) 등 수두룩하다.
박진영은 엔터테인먼트의 수장이면서도 ‘딴따라’로서의 삶도 여전히 이어가고 있다. 2007년 ‘니가 사는 그 집’을 시작으로 ‘대낮에 한 이별’ ‘너의 뒤에서’ ‘노 러브, 노 모어’(No love, No more) ‘너 뿐이야’ ‘놀만큼 놀아봤어’ ‘어머님이 누구니’ 등 2010년대에 낸 음악들도 대부분 좋은 성적을 거뒀다.
현재도 소속 아티스트들의 앨범 프로듀싱에 적극 참여하는 것은 물론, 지난해 11월에는 새 앨범 ‘이지 러버’(Easy Lover)(아니라고 말해줘)를 발매한 것에 이어 데뷔 30주년을 기념한 단독 콘서트 ‘스틸 제이와이피’(Still JYP)를 진행하며 후배 가수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대통령 직속 대중문화교류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임명됐다. 이는 대중음악계 인사 최초의 장관급 정부 직책이다.
◆‘청혼가’는,
1995년 9월 1일 발매된 그의 정규 2집 앨범 ‘딴따라’의 수록곡이다. 해당 앨범은 총 83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는데, 이 앨범에서 가장 큰 히트를 기록한 ‘청혼가’의 역할이 컸다. 박진영이 직접 작사, 작곡한 곡으로 앨범의 또 다른 히트곡인 ‘엘리베이터’와는 완전히 다른 색깔을 보여주며 박진영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준 대표적인 곡 중 하나다.
당시 양대 가요 순위 프로그램이었던 ‘가요톱10’ ‘인기가요 베스트 50’ 등에서 정상을 차지하는 등 방송 차트를 석권하며 대중적 인기를 증명했다. 흥겨운 리듬과 파워풀한 퍼포먼스, 남존여비 사상을 반박하는 통쾌한 가사 등이 ‘청혼가’의 매력이다.
이 곡의 성공은 댄스가수라는 이미지를 넘어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박진영의 입지를 다지는 계기가 됐다. 이후 30년 가까이 흐른 현재까지도 결혼식 축가나 프러포즈 곡으로 꾸준히 사랑받으며, 시대를 초월하는 명곡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