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로선 '오세훈 아성' 꺾기엔 역부족
친여 성향 여론조사, 서울 지지율 보니
"야당 지지" 49.2%·"여당 지지" 47.3%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치러질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 지역 가운데 서울시장 탈환을 목표로 물밑 채비에 한창이다. 국정감사에 앞서 언론을 통해 일지감치 출마를 선언하거나 현역 오세훈 서울시장의 시정을 비난하며 몸집 불리기에 나서고 있다.
대통령 임기 중 전국 선거는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짙은 만큼, 집권여당 입장에서 서울은 반드시 가져와야할 지역이다. 서울 선거 승리가 지방선거 전체 승리라고 봐도 무방하다는 배경이 깔린 셈인데, 현재로써 민주당 후보군 가운데 대중적 인지도 측면에서 오세훈 시장을 꺾기엔 역부족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소속 서울시장 출마 후보군으로 자천타천 거론되는 인물은 10여 명이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인 서영교 의원과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인 박주민 의원은 국정감사 기간에 앞서 언론을 통해 이미 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아직 출마 선언을 하진 않았지만, 오 시장의 '한강버스' 등 서울 시정을 겨냥해 연일 맹폭을 가하고 있는 전현희 수석최고위원도 출마를 위한 몸풀기에 나섰다. 전 수석최고위원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국정감사와 당 3대특검 종합대응 특위위원장, 서울시장 선거 준비 등에 몸이 두 개라도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당도 국정감사 기간 중 지방선거 채비를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우선 국정감사가 종료되는 이달 말까지 후보 자격에 대한 심사규정을 정비하고, 경선 방식과 부적격자 컷오프(공천배제) 등 공천 방식을 결정할 방침이다. 약 8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 일찌감치 공천준비를 마무리하고 필승 전략을 다지겠다는 의지다.
다만 현재로썬 민주당이 현역의 오 시장을 꺾기엔 다소 힘에 부친다는 결과가 친(親)민주당 성향의 여론조사 기관인 '여론조사꽃'으로부터 나온 게 주목된다. 비교적 정치 이슈에 민감하고 타 지역 대비 중도층이 포진한 서울에서 민주당 내 강경파 후보군 만으로 서울시장만 4선인 오 시장을 상대하기엔 부족하다는 관측이다.
앞서 여론조사꽃이 직접 전화를 걸어 묻는 전화면접조사(CATI) 방식과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각각 진행해 전날 발표한 내년 6월 3일 서울시장 선거 여론조사 결과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ARS 조사 기준)는 응답이 49.2%로 집계됐다.
이는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응답(47.3%)에 비해 오차범위 내에서 백중세를 보인 것이다. 연령별로도 30대의 53.5%, 18~29세의 67.1%가 '야당 지지'를 택했다. 일반적으로 ARS 조사방식은 정치 고관여층의 의견을 잘 담아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잇따른 '부동산 대책'도 이재명정부를 향한 서민들의 불신을 자아내고 있다는 관측이다. 정치권에 따르면 정부는 조만간 세 번째 부동산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6·27 대출 규제, 9·7 공급 대책에도 서울 집값 상승세가 꺾이지 않자, 수도권 내 규제지역 확대, 대출 축소 등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한 '패키지 대책'이 담긴 규제 카드를 예고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규제 일변도의 정부 부동산 대책이 전세 매물을 잠식시키는 '전세대란'을 앞당길 뿐만 아니라, 서민들의 실거주를 위한 매매 수요까지 틀어막아 결국 주거 불안만 증폭시킬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다시 말해 실수요자에 대한 주택 매매가액 상한선이나 대출 기준 설정없이 서민들의 주택수요까지 포괄적으로 규제망에 집어 넣을 경우 집값이 폭등했던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현재까지 강경파들로 거론되는 서울시장 후보군과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결국 내년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칠 거란 전망을 조심스레 내놓고 있다.
보수 원로 논객인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는 최근 라디오에서 내년 서울·부산시장 선거에서 민주당이 고전할 것이라고 전망한 뒤, "정청래 대표 이후 민주당이 너무 과격하다. 과격한 걸 싫어하는 사람들이 중도이고, 특히 서울 사람들"이라며 "민주당이 꼭 이긴다는 보장이 없다"고 주장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지방선거 격전지 중 인물 대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곳이 서울"이라며 "특히 부동산 시장에 대한 서울 민심 가운데 주택 매매 뿐만 아니라 서울에서 전세로 거주하는 세입자들도 정부 대책으로 인한 부동산 폭등장에서 불안한 심리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문재인정부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이 '두더지 잡기식' 정책으로 인한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었다"며 "이재명 대통령 취임 2년차에 치러지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 가장 민감한 부분인 서울 부동산 시장에 정부가 휘둘리는 모양새를 보인다면 선거 결과도 낙관하기만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