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전공의 복귀를 막는 악성 게시물인 ‘의료계 블랙리스트’ 논란과 관련 “메디스태프 운영이 의정갈등에 악영향을 줬다”면서 현재 관계부처와 협의해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 장관은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이 “의정갈등 장기화의 배경에는 메디스태프 플랫폼의 악의적 여론 조성이 있다”며 “복귀를 희망하는 전공의들까지 위협과 조롱에 노출됐다”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했다.
한 의원은 “지난해 의정갈등으로 수술이 멈추고 응급실이 닫히는 동안 초과 사망자만 3136명에 달했다”며 “복귀하려는 전공의를 향해 ‘돌아오면 성폭행하겠다’는 폭력적 게시글까지 올라왔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런 글을 방치한 메디스태프 운영진은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블록체인 기업 두나무가 검찰 송치 이력이 있는 메디스태프에 43억원을 투자했다”며 “윤리경영을 내세우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저버린 결정”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대표의 수사 사실을 알고도 투자한 것은 명백한 판단 실패”라며 “종합감사 전까지 투자 적절성 평가 결과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정 장관은 “메디스태프의 운영 방식이 의정갈등에 악영향을 줬다고 생각한다”며 말했고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투자 결정 과정에서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고 답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