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지도, 네이버랩스 공간지능 기술과 시너지 강화
AR 내비게이션, 코엑스 우선 적용…대응 시설 순차 확대
주요 랜드마크 3차원으로 보여주는 '플라잉뷰 3D' 선봬
네이버지도가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기술을 활용한 '실내 AR(증강현실) 내비게이션', '플라잉뷰 3D' 기능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GPS(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없이도 네이버지도를 통해 실내 공간에서 정확한 길을 안내해주는 실내 AR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3일 밝혔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GPS 신호가 닿지 않는 곳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이용자 위치와 방향을 인식해 AR로 길을 안내해주는 서비스다. 이용자가 카메라로 주변을 스캔하면 목적지까지 이동 방향이 현실 공간 위에 직관적으로 표시된다.
이번 업데이트와 함께 실내 편의시설 UI(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개선했다. 이용자가 음식점, 카페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화장실, 안내데스크와 같은 편의시설을 편리하게 탐색하면서, AR 길안내를 통해 목적지를 쉽게 찾아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교한 길안내를 위해 네이버지도는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기술을 활용했다. 대표적으로 ▲3차원 공간 정보를 구축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 ▲카메라로 현재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는 AI 비전 측위(Visual Localization) 기술을 적용했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코엑스에서 우선 만나볼 수 있다. 네이버지도는 지난 8월부터 네이버 1784와 그린팩토리에서 AR 내비게이션을 시범 운영하며 기술 및 서비스 안정성을 높여왔다. 네이버지도는 코엑스를 시작으로 유동 인구가 많고 복잡한 복합 공간을 중심으로 대상 시설을 순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지도는 전국의 주요 랜드마크를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플라잉뷰 3D도 선보인다. 이 기능은 경주 첨성대, 서울 코엑스,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전주 한옥마을, 부산 벡스코 등 10개 명소 주변에서 우선 만나볼 수 있다.
향후 네이버지도는 국내 대표 랜드마크와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플라잉뷰 3D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도 네이버지도를 통해 한국의 주요 명소들을 현실감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돕는다는 방침이다.
플라잉뷰 3D에는 네이버랩스의 노블뷰 신세시스(Novel View Synthesis, NVS) 기술이 적용됐다.
노블뷰 신세시스는 이미지 학습만으로 3차원 공간을 구성하고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듯한 영상을 생성하는 3D 비전 기술이다. 드론으로 촬영한 고해상도 항공 이미지와 네이버랩스 자체개발 매핑 장비 P1으로 촬영한 거리뷰 3D 이미지를 결합했다.
최승락 네이버지도 서비스 총괄 부문장은 "네이버지도는 장소 탐색부터 이동까지 전반적인 여정을 완결성 있게 지원하는 올인원 플랫폼에서 나아가, 오프라인의 현장감도 생생하게 구현하는 '현실과 가장 가까운 지도'로 거듭나고 있다"며 "지도와 공간지능 기술의 시너지가 무궁무진한 만큼, 이용자에게 더 혁신적인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지속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