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통위, 23일 통방…지난 7월 이후 3차례 연속 동결
"국제금융시장, 미·중 무역협상 및 관세 향방 등에 영향"
올해·내년 성장률, 8월 전망 부합…상·하방 불확실성은 ↑
"금리인하 기조 이어갈 것…금융안정 상황 점검해 결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했다.ⓒ한국은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했다. 국내 경기 성장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최근 소비 수출이 개선되고 있고 부동산과 환율 등 금융안전 요인을 더 살펴봐야 한다는 판단이다.
한은 금통위는 23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2.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올해 1월 금리를 동결한 뒤 2월과 5월에 각각 0.25%포인트 인하하고, 7월과 8월에는 2.50%에서 금리를 동결했다.
금통위는 "물가가 안정된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성장은 전망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부동산 대책의 수도권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영향, 환율 변동성 등 금융안정 상황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경제와 관련해 금통위는 "미국 관세 인상의 영향이 가시화되면서 성장세가 완만히 둔화되고 물가경로는 국가별로 차별화될 전망"이라며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장기 국채금리가 미 연준의 금리 인하, 미‧중 무역갈등 재부각 등으로 하락했고, 미 달러화는 주요국 재정건전성 우려 등에 영향받으며 상당폭 등락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미·중 무역협상 및 품목별 관세 향방,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변화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국내경제는 건설투자 부진에도 소비 회복세 지속, 양호한 수출 증가세 등으로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고용은 전체 취업자수 증가규모가 확대됐지만, 제조업 등 주요 업종에서는 감소세가 지속됐다.
금통위는 "앞으로 내수가 소비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이어가고 수출도 반도체 경기 호조 등으로 당분간 양호한 흐름을 보이겠으나 미 관세 부과의 영향이 점차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와 내년 성장률은 지난 8월 전망(각각 0.9%, 1.6%)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한·미 및 미·중 무역협상, 반도체 경기, 내수 개선속도 등과 관련한 상·하방 불확실성이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금융·외환시장은 대체로 안정세가 이어지다가 9월 하순 이후 환율과 금리의 변동성이 다소 확대됐다.
원·달러 환율이 대미 관세협상 관련 불확실성, 미‧중 무역갈등 재부각 등으로 상당폭 상승했고, 국고채금리는 좁은 범위에서 등락하다가 금융안정에 대한 경계감 등으로 높아졌다.
주가는 반도체 업황 호조, 자본시장 제도 개선 기대 등으로 큰 폭 상승했다. 가계대출은 증가규모가 상당폭 축소됐으나 수도권 주택시장에서는 가격 상승세와 거래량이 다시 확대됐다.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갈 것"이라면서도 "이 과정에서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흐름 및 금융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