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APEC CEO 서밋의 '퓨처테크포럼 AI' 주관
"투자 규모·속도 경쟁이 기업·나라 간 격차 만들 것"
한국의 대응 방안으로 정부·기업 긴밀한 협력 강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8일 경북 경주엑스포대공원 문화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퓨처테크 포럼: AI’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을 '국가의 성장 엔진이자 안보'로 규정하며, 한국이 기술 자립과 글로벌 협력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회장은 28일 오후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서 "요즘 비즈니스에서 AI를 빼고는 어떤 화제도 찾기 어렵다"며 "AI는 이제 기업들의 경쟁에서 이제는 국가의 성장 엔진이고, 안보인 국가경쟁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퓨처테크포럼 AI'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의 부대 행사다.
그는 "미국은 AI 전쟁에서 승리하겠다는 전략적 목표로 AI 인프라 강화와 미국 기술을 전 세계에서 확산시키겠다는 아이디어와 전략적 목표를 확실히 갖고 있다"며 "중국은 기술 자립과 내수 확대로 미래 AI 경쟁력을 강화하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과 중국, 또 일부 빅테크가 AI의 엄청난 규모의 투자를 하고 있다. 속도 경쟁이 아주 치열하다. 속도나 규모가 크게 움직이는 만큼 격차가 더 커질 것"이라며 "기업 간의 격차, 나라 간의 격차, 사람 간의 격차라는 것이 점점 더 벌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AI 경쟁 시대에서 한국의 대응 방향으로 정부와 기업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아주 긴밀히 협업해서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며 "민관 협력 기반의 컴퓨팅 인프라 구축 사업이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는 기술 자립을 위한 노력"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울산 AIDC(인공지능데이터센터) 건립, 오픈AI와의 전략적 협력은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또 하나의 기폭제가 되고 있다"며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의 협력, 이 두 가지가 병존하는 대한민국을 넘어서 많은 APEC 국가들이 이런 모델을 한번 레퍼런스로 볼만 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병목현상도 언급했다. 최 회장은 "AI 데이터센터를 많이 지어야 하는데 칩, 에너지까지 모두 병목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며 "이 현상을 한국 혼자서 다 풀어낼 수 있다고 저는 보지 않지만, 한국이 새롭고 빠르게 적용하는 스피드를 발휘해서 우리가 가진 병목을 풀어내는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다"고 자신했다.
마지막으로 최 회장은 "한국의 경험과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인사이트가 공유되는 이번 포럼이 AI 시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길 바란다"며 보다 심화된 논의는 11월 3일 열리는 SK AI 서밋에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