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서울 마포구 누리꿈스퀘어에서 열린 2025 공공기관 AI 대전환 워크숍에 참석, 개회사를 하고 있다.ⓒ기획재정부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2%를 달성한 것과 관련해 “새 정부의 진짜 온전한 경제 성적표라고 생각한다”며 “올해 1분기 -0.2%, 2분기에 0.7%, 이어 3분기에 1.2%를 실현했다. 굉장히 의미가 있다고 보여진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서 열린 2025 공공기관 AI 대전환 워크숍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답했다.
구 부총리는 “소비가 살아나고 투자도 늘었고 투자 중에서도 건설 쪽 감소폭이 굉장히 줄었다. 수출도 여러상황 속에서도 좋아지는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또 “정부가 이번에 1·2차 추경을 통해 역할을 한 부분이 겹쳐 나온 성적표라고 생각한다. 이런 추세를 반등시키기 위해서는 내수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하면서 중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총요소 생산성을 높이려면 AI 대전환을 해야 한다. 민간은 잘하고 있다. 공공기관에도 접목을 시켜서 댐 관리와 민원 처리, 안전 관리도 AI를 통해서 한다면 공공부문 생산성이 향상되고 대국민 서비스가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대한민국의 선순환 구조를 위한 가장 좋은 툴이 AI”라며 “공공기관이 AI 대전환을 한다면 한국의 생산성이 더 높아지고 GDP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1% 성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