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장성민 "한국 불신 깊어질수록 미일 동맹 강화…李대통령 때문"

김수현 기자 (water@dailian.co.kr)

입력 2025.10.29 18:49  수정 2025.10.29 19:01

"李 대통령 개인적 사법리스크가

韓 디스카운트로 확대될 위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안산갑에 출마한 장성민 국민의힘 후보가 지난 4월 3일 오전 경기 안산시 단원구 SK브로드밴드 한빛방송에서 열린 후보자 방송토론회에 참석해 관계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 뉴시스

장성민 국민의힘 전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대해 "미국의 한국 불신이 깊어질수록 미일동맹은 강화되고, 이는 곧 한미동맹의 약화를 의미한다"고 했다.


장성민 전 의원은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위대한 우리 국민은 문재인 정권에 끌려가지 않고 오히려 한미동맹을 더욱 강하게 견인했다"며 "지금 또 한번 한미동맹이 시련을 맞고 있다. 그건 대북 불법송금 800만달러 혐의와 미군을 '점령군'이라 부른 반미·친중 노선의 전과 4범 이 대통령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쌍방울 대북송금 공모 혐의 등) 이 대통령의 개인적 사법리스크가 대한민국 디스카운트로 확대될 위기를 맞았다"며 "두 차례에 걸친 트럼프 대통령의 환영 만찬에서 모습을 보이지 않고, 관세 협상을 오판하며, 주한미군 기지를 기습 압수수색해 동맹국의 불만을 산 장본인"이라고 했다.


이어 "여기에 21세기 미·중 패권 경쟁의 치열함과 그 심각성에 대한 무지로, 중국에 '셰셰'(謝謝·감사 인사)하는 철없는 언행을 서슴지 않은 반지성주의 이 대통령 하의 한미동맹은 새로운 위기를 맞고 있다"며 "그 역시 문재인처럼 '자주국방'을 떠벌린다. 글로벌 복합위기 속 '진정한 자주국방'이란 어떤 방어체제인지도 모르는 한심한 안보관"이라고 지적했다.


장 전 의원은 "북한은 이미 핵파워국가로 등장했고, 중국·러시아는 막강한 핵보유국이며 모두 독재체제의 신권위주의 국가들로 우리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며 "핵을 보유하지 못한 대한민국의 유일한 방어책인 미국 핵우산, 확장억제 전략을 약화시키고 자주국방 운운하는 건 재래식 전력에 국한된 제한적 안보 인식, 전자전 시대에 투석전 수준의 발상"이라고 했다.


장 전 의원은 "이는 북한 핵 위협에 가장 가까운 '한국 대통령이 주장해야 할 안보 의제'를 '일본 총리가 대신해 준' 모습이다. 이런 상황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문재인 정권하에서도 똑같았다"며 "당시 아베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이 방치한 북핵 문제를 대신 제기해,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핵전략에 말려들지 않도록 붙잡던 상황과 매우 흡사한 재현"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네 가지를 분명히 제시해야 한다"며 "'북한의 비핵화'를 강력히 주장할 것, '한미동맹을 미일동맹 수준으로 업그레이드 시키자'고 주장할 것, '관세협상 조속한 타결'을 약속할 것, 한미동맹의 전략적 유연성을 확대해 '서해 설치 중인 중국의 정체불명 구조물을 철거시키자'고 주장할 것"을 촉구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수현 기자 (water@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