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처, 3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
17개 시도 중 11개서 소비 증가
2025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 ⓒ국가데이터처
올해 3분기 전국 소매판매(소비)가 전년동기대비 1.5% 증가하며 13개 분기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국가데이터처는 17일 ‘2025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소배판매는 지난 2022년 2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12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올해 2분기에는 보합(0.0%)을 기록한 뒤 플러스로 전환됐다.
전체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에서 소비가 늘었다.
특히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의 판매가 늘면서 세종(8.8%), 인천(5.5%), 대구(5.3%) 등에서 소매판매가 크게 올랐다. 반면 서울(-2.7%), 제주(-1.3%), 전북(-1.0%) 등 5개 지역은 감소했다. 면세점, 슈퍼마켓·잡화점·편의점, 대형마트 등의 판매가 줄었다.
소매판매 외에도 광공업 생산, 서비스업 생산, 건설수주 등 대부분 경제지표가 증가했다.
3분기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분기 대비 5.8% 올랐고, 10개 시도에서 플러스를 나타냈다. 충북(19.1%), 경기(15.9%), 광주(14.6%)는 반도체·전자부품, 전기장비 등의 생산이 늘면서 생산 호조를 기록했다. 서울(-8.6%), 전남(-5.4%), 제주(-4.2%)는 기타 제품 제조업, 전기·가스업 등의 생산이 줄면서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 동분기 대비 3.1% 증가했다. 17개 시도 중 제주(-8.2%), 전남(-0.8%), 경남(-0.3%)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서비스업 생산이 늘었다. 서울(6.1%), 울산(5.3%), 경기(4.9%)는 도소매, 예술·스포츠·여가 등의 생산이 늘면서 상위권에 올랐다.
같은 기간 건설 수주는 1년 전보다 26.5% 급등했다. 전국적으로 주택과 철도·궤도 등의 수주가 늘었다는 분석이다.
17개 시도 중 9곳에서 건설수주가 증가했다. 충북(104.4%), 서울(68.1%), 부산(45.9%)은 공장·창고, 주택 등의 수주가 늘면서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반면 제주(-69.7%), 강원(-60.0%), 세종(-49.4%) 등은 주택, 철도·궤도, 공장·창고 등의 수주가 줄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수출은 전년 동분기 대비 6.5% 증가했다. 13개 시도에서 수출이 늘었다. 제주(168.1%), 충북(36.8%), 광주(23.5%)는 반도체·부품, 메모리 반도체, 프로세서·컨트롤러 등의 수출이 늘면서 상위권을 차지했다. 경북(-6.4%), 경남(-5.5%), 서울(-2.8%)은 방송기기, 기타 일반기계류, 차량 부품 등의 수출이 줄면서 뒷걸음질을 쳤다.
전국의 고용률은 전년 대비 0.2% 개선된 63.5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40대, 30대 등의 고용률이 오른 영향으로 보인다. 대전(2.2%p), 충북(1.5%p), 경북(1.5%p)등에선 올랐으나 세종(-1.0%p), 경기(-0.7%p), 인천(-0.7%p) 등에선 감소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