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콩 비축예산 상임위서 1000억원 증액
생산 증가로 6만 t 계획에 추가 2만 t 거론
반면 소비 비중은 30%대 하락해 수요 정체
콩. ⓒ챗GPT
국산콩 생산이 빠르게 늘어나는 가운데 내년도 정부 비축 계획과 예산이 큰 폭으로 조정되고 있다. 하지만 국산콩에 대한 소비처 확보는 진전이 없어 수요 기반이 정체된 실정이다.
지난 1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내년도 국산콩 비축 예산을 정부안보다 1000억 원 늘린 수정안을 의결했다. 정부가 제출한 3150억 원에 상임위 증액 1000억 원이 더해져 비축 관련 예산 규모는 4150억 원 수준이 됐다. 최종 예산은 향후 예결위와 본회의 절차를 거쳐야 확정된다.
정부 예산안 기준 국산콩 비축 계획은 내년 6만 t이다. 금액 기준 3150억 원이며 올해 5만 t보다 1만 t 많은 규모다.
상임위가 제시한 1000억 원 증액분은 기존 계획 외 2만 t가량 추가 비축까지 포함하는 수준으로 설명되고 있다. 최근 생산 증가 속도를 고려한 조치로 해석된다.
실제로 콩 생산량은 4년 만에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연도별 콩 생산량은 2020년 8만1000 t, 2021년 11만1000 t, 2022년 13만 t, 2023년 14만1000 t, 2024년 15만5000 t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콩 생산량은 2020년 대비 약 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면적도 2020년 5만5008 ha에서 2024년 7만4018 ha로 34% 증가했다. 이는 논 타작물 재배 지원 사업, 전략작물직불제 등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국산콩 생산량 증가와 다르게 소비 지표는 하락하고 있다.
지난 10월 국정감사 과정에서 제출된 농식품부 자료를 이원택 의원실이 분석한 결과 국산콩 소비 비중은 2023년 34.3%에서 2024년 30.5%로 떨어졌다.
생산 증가와 비축 확대가 있는 상황에서 소비 기반은 정체된 구조가 드러난 셈이다. 공급이 늘어도 시장 흡수력은 커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생산이 확대되는 만큼 정부도 소비 기반을 넓히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나 뚜렷한 성과는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다. 소비처 확보가 비축 확대와 병행이 절실한 시점이다.
정부도 생산자 단체와 간담회를 열어 2026년 수급 전망을 공유하고 소비 확대를 논의한 바 있다. 또 콩 수요 확대 방안을 함께 협의하기로 했다.
수입콩 저율관세물량(TRQ)도 증량이 아닌 현재 물량이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도 고수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콩은 최근 수확이 시작됐다. 생육 상태에 따라 비축 물량이 달라질 수 있다”며 “국산콩의 새로운 수요처를 확보하진 못했으나 지속 업계 등과 논의하며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입콩 사용 업체들에게 국산콩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국산콩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며 “현재는 콩 TRQ 물량 또한 기본적인 물량을 유지하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