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공공기관 전자문서 700여종 발송을 통해 국가 디지털 인프라 전환과 탄소 배출 감축에 힘쓰고 있다.ⓒ네이버
네이버는 공공기관 전자문서 700여 종을 발송하며 국가 디지털 인프라 전환과 탄소 배출 감축에 앞장서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네이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인증받은 공인전자문서중계자다. 2019년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국방부, 국세청, 성평등가족부 등 다양한 공공기관 전자문서 700여 종을 발송하고 있다.
특히 높은 수준의 보안성과 안정성을 입증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국방부, 성평등가족부 등 주요 공공기관의 '1차 발송자'를 맡고 있다.
전자문서 수신부터 인증, 신분증 확인, 납부까지 네이버앱에서 전부 해결하도록 지원하며 국세청, 국방부 등 주요 기관의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네이버는 다양한 공공, 금융, 민간 기관이 종이 우편물로 발송하던 안내문, 고지서, 통지서를 전자고지서 형태로 전달하며 협력 기관을 늘리고 있다.
네이버 전자문서 이용자는 네이버앱 메인 화면에서 건강검진표, 국민연금 안내 등 미열람 문서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지방세와 도시 요금 고지서를 확인하고 납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난 9월 네이버 전자문서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게 경기도청과 업무협약을 맺고 1500만 경기도민 '기후행동 기회소득' 정책의 공식 파트너로 지정됐다.
기후행동 기회소득은 탄소중립 실천 활동을 한 경기도민에게 실천 활동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평가해 기회소득(리워드)를 지급하는 제도다. 2026년부터 네이버 전자문서 이용 실적이 기후행동 기회소득으로 인정된다.
또한 네이버는 지난 7월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최초로 PC, 모바일 웹 등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바이스 환경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식 350종을 발송하고 있다. TTS(Text-to-Speech) 기술로 전자문서 내용을 음성으로도 전달해 고령층과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여 과학기정보통신부 장관상도 수상했다.
네이버 전자문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논의해 향후 발송 기관을 대상으로 네이버 기술 노하우를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국가 디지털 인프라 전환을 돕는다.
네이버는 기존 종이 우편을 전자문서로 대체해 2024년까지 누적 약 4억9400만장의 종이 절감 효과를 냈다. 탄소 배출 감축에도 기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에도 노력하고 있다.
전자문서 서비스를 담당하는 네이버 황보영 리더는 "대국민 전자문서 발송을 책임지는 네이버는 전국민에게 700여 종 이상의 전자문서를 발송하고 있으며, 보안, 편의성, 접근성을 높여 협업 기관, 발송 문서의 종류를 더욱 늘려갈 예정"이라며 "네이버는 신뢰받는 전자문서 서비스를 고도화해 ESG, 탄소 배출 감축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