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미 통상 합의 불확실성 줄여…관세, 하반기 더 큰 영향"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입력 2025.11.18 15:22  수정 2025.11.18 15:25

"한국, 신기술 분야서 좋은 위치…AI 산업 하드웨어도 강해"

"설령 거품 있더라도 치열한 경쟁 속에서 AI 붐 계속될 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8일 "한국과 미국의 통상 합의가 불확실성을 상당히 줄였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방송된 BBC인터뷰에서 "미국의 기초 과학 역량과 한국의 제조 및 응용 기술 역량을 결합하는 합작 투자를 발전시킬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대미 관세 영향에 대해서는 "올해 상반기에는 수출 호조 덕분에 데이터가 나쁘지 않았다"며 "하반기에 더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역 긴장이 있기 전부터 우리는 이미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목격했고, 아시아의 공장인 중국 이외 지역으로 시장 다변화를 시작했다"며 "이는 무역 긴장 때문이 아니라 특정 산업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매우 확대돼 (수요처 등의) 조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관련기사 보기
한은 "BESS·전기차 활용해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문제 완화해야"
한은 "미·중 무역긴장 완화에 셧다운 종료까지…국제 금융 투자심리 양호"


이 총재는 "신기술은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측면"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은 특히 인공지능(AI)과 같은 신기술 분야에서 좋은 위치에 있다"며 "한국의 AI 산업은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에서도 강하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최근 AI 거품론과 관련해 "설령 거품이 있다고 해도 이 치열한 AI 경쟁에서 누가 승자가 되든 AI 붐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AI는 고사양의 대규모 서버뿐 아니라 소형 기기, 피지컬 AI 등에도 사용되면서 막대한 반도체 수요를 일으킬 것"이라며 "한국은 다른 나라들보다 조금 더 안전하다"고 부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