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자산운용 "M세대 겨냥 2040·2045 TDF 수익률 1위"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입력 2025.11.21 14:30  수정 2025.11.21 14:30

TDF 2025·2050도 해당 빈티지 수익률 1·2위

한화자산운용은 21일 '한화 LIFEPLUS 타깃데이트펀드(TDF)'가 2040 및 2045 빈티지에서 연초 이후 수익률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한화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은 21일 '한화 LIFEPLUS 타깃데이트펀드(TDF)'가 2040 및 2045 빈티지에서 연초 이후 수익률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한국펀드평가 펀드스퀘어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한화 LIFEPLUS TDF 2040' '한화 LIFEPLUS TDF 2045'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각각 14.96%, 16.40%로 파악됐다. 이는 각 빈티지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두 빈티지 평균 수익률인 11.17%, 11.68%과 비교하면 각각 3.79%, 4.72%포인트 높다.


여타 빈티지인 TDF 2025(9.46%), TDF 2050(17.05%) 등도 각각 해당 빈티지 수익률 1위, 2위를 기록 중이다.


TDF는 은퇴 시점을 기준으로, 투자자 생애 주기에 맞게 자산 비중을 자동으로 조정해 주는 생애주기형 펀드다.


2040 및 2045 빈티지 상품은 2040년대 은퇴가 예상되는 1980년대생, M세대를 겨냥한 상품이다. 주식 자산 비중은 70~80% 수준으로 공격적인 자산배분을 추구한다.


한화자산운용 측은 "4년 넘게 이어온 JP모건과의 자문 협약을 통한 글로벌 운용 노하우 활용이 성과 비결"이라며 "JP모건의 TDF 전담팀과 협업해 1만회 이상의 시뮬레이션을 거쳐 한국 투자자에 최적화된 글라이드 패스를 설계했다"고 밝혔다.


이어 "자산별 특성에 따라 액티브와 패시브 운용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전략도 주효했다"며 "미국 대형주와 선진국 채권 등은 패시브로, 신흥국 주식 등 알파 추구가 용이한 자산은 액티브로 운용해 투자 효율을 극대화했다"고 전했다.


박현 연금솔루션운용팀 팀장은 "어느 한 자산군에 집중투자하는 것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자산 간 상관관계를 고려한 분산투자가 최우선 목표"라며 "이 같은 투자 원칙이 최근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효과를 발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기투자자인 퇴직연금 투자자를 위해 안정적인 수익률을 창출하고, 자산을 안전하게 지키는데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