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주도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 두고
일부 최고위원·친명계 반발 확산…"졸속 유감"
김병기·김용민, 검사장 고발 두고 '뒷감당 신경전'
내란전담재판부 두고서도 지도부·강경파 온도차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가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투톱인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의 리더십이 휘청거리고 있다. 정 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에 최고위원 일부와 친명(친이재명)계가 공개적으로 반발하고 나섰고,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반발 검사장 18명 경찰 고발'과 '내란전담재판부' 도입 등을 두고 김병기 원내대표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다.
이재명 1기 지도부 수석사무부총장을 지낸 강득구 의원은 23일 페이스북에 "대의원제에는 단순한 '기득권 구조'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지역 균형, 전국 정당의 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 당이 축적해 온 전략적 보완 장치가 담겨 있다"고 했다.
강 의원은 "1인 1표제를 도입한다는 이유로 그 보완 장치의 취지까지 없애버린다면, 우리 당 역사와 정체성, 가치를 훼손하는 우를 범하는 졸속 개혁이 될 수 있다"며 "지도부는 당원 주권과 전국정당을 동시에 실현하는 '1인 1표+@'의 균형 잡힌 보정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당직자·원외지역위원장 출신의 친명계 윤종군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 "당원주권 강화 방향에 동의한다"면서도 "전 지역 권리당원 표를 1인 1표로 하는 것에는 이견이 있다. TK(대구·경북) 등 영남 지역 당원 자긍심 저하, 당세 확장 장애 조성이 우려된다"고 했다.
윤 의원은 또 "당의 동진 확장 전략에 배치된다. 동진 확장 전략은 김대중·노무현 대통령 이후 우리 당의 일관된 당세 확장 전략이었다"며 "영남 지역 당 활동 활성화, 당원 자긍심 고취를 위한 최소한의 동인을 제공하는 대안이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했다.
대표적인 친명 조직인 더민주혁신회의도 전날 비판 논평을 냈다. 혁신회의는 "취지는 좋으나, 의견수렴 방식·절차적 정당성·타이밍 면에서 '이렇게 해야만 하나'라는 당원들의 자조 섞인 목소리가 봇물 터지듯 들려온다"고 했다.
이언주 최고위원도 지난 21일 최고위원회가 대의원과 당원 간 투표 가치 비율을 1대 1로 동일하게 하기 위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당무위원회에 부의하는 안건을 의결하자, 페이스북에 "과반에 가까운 상당수 최고위원이 우려를 표하고 숙의를 원했음에도 강행, 졸속 혹은 즉흥적으로 추진된 부분에 대해 유감스러운 점이 많다"고 했다.
'전 당원 1인 1표제' 추진을 두고 당 안팎으로 쏟아지는 비판 목소리가 쏟아지자 정청래 대표는 23일 "이재명 대표 시절 최고위원으로서 호흡을 맞추며 당원 주권 정당의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며 "더 미룰 수 없는 당내 민주주의 과제"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2022년∼2023년 당 원외지역위원장 협의회가 대의원제 개선과 권리당원 1인 1표제를 요구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인용하며, "이재명 정부의 국민주권 시대에 걸맞게 당원주권 시대로 화답해달라"고 했다. 당헌·당규 개정안은 24일 당무위, 28일 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김병기 원내대표와 법사위 소속 강경파 의원들 간 신경전도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법사위 소속인 전현희 수석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를 더는 지체해서는 안 된다"며 다소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는 당 지도부를 재차 직격했다.
김 원내대표가 "내란전담재판부 문제는 당정대가 긴밀하게 소통하며 처리하겠다. 강경한 의견을 빙자해 자기 정치하려는 일부 의원들의 주장은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최근 한 지지자에게 보낸 것이 알려지기도 했다.
전 수석최고위원은 여당 법사위원들이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결정에 반발한 검사장 18명을 경찰청에 고발할 때 당 지도부와 사전 논의가 부족했다는 지적과 관련해선 "사전에 원내 지도부와 조율이 있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은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상임위 활동의 모든 사안을 일일이 지도부와 논의해서 진행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김 원내대표는 여당 법사위원들이 지난 19일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에 반발하는 검사장들을 형사 고발한 사실을 사후에 알게되자, "그런 민감한 사안은 (지도부와) 협의해야 했다. 뒷감당은 거기(법사위)서 해야할 것"이라며 격노했다.
그러자 법사위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21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원내와 소통할 때 이 (항명 검사장 고발) 문제를 얘기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뒷감당 잘할 수 있다. 그 부분은 걱정 안 하셔도 된다"고 받아쳤다.
민주당 관계자는 "주요 사안을 두고 곳곳에서 잡음이 발생하는 것은 당 지도부 리더십의 부재를 증명하는 것"이라며 "당 지도부가 원내 컨트롤이 안 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당대표일 땐 이런 일이 있었느냐"고 반문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